게임 라이브
    • PDF

    게임 라이브

    • PDF

    기사 요약

    Classic/VP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PRISM Live Studio 모바일 앱이 지원하는 세 가지 라이브 방송 유형 중 게임 라이브 유형을 지원하는 게임 라이브 모드와 활용 방법을 설명합니다. 게임 라이브는 기기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캡처하여 라이브 방송에 활용하는 라이브 형태를 의미합니다.

    게임 라이브 모드

    B2B PRISM Live Studio 모바일 앱을 실행하여 하단 모드 탭에서 [LIVE] 버튼을 선택하여 라이브 방송 준비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앱 화면 하단의 [Ready] 버튼 바로 위에 라이브 방송 모드를 선택하는 탭이 존재합니다. 해당 탭은 [스크린], [카메라], [VTuber] 탭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스크린] 탭을 선택하면 게임 라이브 모드로 라이브 방송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스크린 탭

    [스크린] 탭으로 게임 라이브 모드 라이브 방송을 시작할 수 있는 기능의 앱 내 이름은 스크린 캐스트입니다. 이는 스마트폰 기기의 화면을 라이브 송출한다는 의미합니다. 그렇기에 게임 관련 라이브 방송 외의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해당 기능은 게임 라이브를 위해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게임 라이브 모드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습니다.
    앱이 게임 라이브 모드로 전환되면 앱의 화면은 카메라 프리뷰에서 짙은 회색으로 전환됩니다. 게임 라이브 모드에서는 카메라 영상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앱 화면의 상단에는 게임 라이브를 위한 화면 레이아웃 편집 버튼이 있습니다. 세로 화면 게임 라이브의 레이아웃 설정을 위한 버튼과 가로 화면 게임 라이브의 레이아웃 설정을 위한 버튼입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화면 레이아웃 편집 메뉴로 이동합니다.

    화면 레이아웃 편집

    게임 라이브 방송은 주로 게임 화면과 채팅 및 배너 등 부가 요소들의 조합으로 구성됩니다. 그리고 각 요소들의 조합 형태를 레이아웃이라고 부릅니다. 라이브 방송에 따라 적절한 레이아웃을 설정해야 하며 이는 레이아웃 편집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해당 메뉴에서 설정한 레이아웃은 앱 내에 저장되어 이후에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화면 레이아웃 편집 메뉴는 세로 화면을 위한 편집 메뉴와 가로 화면을 위한 편집 메뉴로 나뉩니다. 그러나 두 메뉴에서 편집되는 레이아웃의 결과는 모두 16:9 비율의 가로 형태입니다. 다만 각각 스마트폰 화면이 캡쳐되는 형태가 세로와 가로로 다르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화면 레이아웃 편집 메뉴는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과 레이아웃 편집을 위한 기능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은 편집하는 레이아웃 결과물을 편집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실제 레이아웃 편집이 발생하는 영역이기도 합니다. 편집을 위한 버튼은 화면 우측 상단에 모여 있습니다. [소스 추가 메뉴 이동] 버튼, [레이어 메뉴 이동] 버튼, [화면 회전] 버튼입니다.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은 16:9의 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배경이 검정색입니다. 프리뷰 영역에 올라가는 소스가 검정색의 배경색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영역은 라이브 방송 영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은 스마트폰 기기의 스크린 화면이 캡쳐될 영역을 표시하는 기기 화면 소스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기 화면 소스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 내에서 기기 화면 소스는 단색의 직사각형으로 표시되지만 라이브 방송 영상에는 해당 영역이 캡쳐된 스마트폰 기기의 화면으로 채워집니다. 기기 화면 소스를 터치하면 소스 편집 모드가 활성화됩니다. 소스 편집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두 손가락 터치로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한 손가락 터치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소스 추가 메뉴

    화면 레이아웃 편집 메뉴의 우측 상단에 b2bpls-gamelive_plus_button 버튼을 클릭하여 소스 추가 메뉴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소스 추가 메뉴를 통해 화면 레이아웃에 다양한 형태의 소스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지원하는 소스의 형태는 채팅, 웹, 이미지, VTuber입니다.

    채팅

    채팅 소스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채팅 소스] 버튼으로 채팅 소스를 화면 레이아웃에 오버레이 할 수 있습니다. 채팅 소스는 라이브 방송이 진행되는 라이브 플랫폼에서 해당 라이브 방송에 시청자가 남기는 채팅이 표시되는 소스입니다. 채팅 소스를 게임 라이브 방송의 한 요소로 담아 보다 생동감 넘치는 라이브 방송 화면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채팅 소스] 버튼을 선택하면 채팅 메뉴로 이동하여 채팅 소스 내에 표현되는 요소들에 대한 다양한 기능 옵션 및 디자인 요소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지원되는 설정은 채팅 메시지 자동 사라짐, 텍스트 불투명도, 채팅 컬러, 폰트, 위젯 스타일입니다. 모든 기능 옵션 및 디자인 요소를 설정하면 채팅 소스는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에 배치됩니다.
      배치된 상태의 [채팅 소스] 버튼을 터치하면 소스 편집 모드가 활성화됩니다. 소스 편집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두 손가락 터치로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한 손가락 터치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웹 소스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웹 소스] 버튼으로 웹 소스를 화면 레이아웃에 오버레이 할 수 있습니다. 웹 소스는 웹 페이지 주소 입력을 통해 해당 웹 페이지를 라이브 방송에 오버레이 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스입니다. 웹 소스는 일반적인 웹 페이지 보다는 스트리머 후원에 널리 사용되는 웹 후원 위젯을 라이브 방송 화면에 오버레이 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 [웹 소스] 버튼을 선택하면 웹 메뉴로 이동하여 웹 소스에 사용될 웹 페이지의 주소와 웹 페이지의 타이틀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타이틀 정보를 내장하고 있는 웹 페이지의 경우 웹 페이지의 타이틀은 자동으로 입력되기도 합니다. 웹 메뉴에서는 라이브 중 화면 위에 웹 소스 보이기 옵션이 있습니다. 해당 옵션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으나 해당 옵션을 활성화하면 게임 화면 내에 올린 영역 내에서만 웹 소스가 표시됩니다. 모든 입력과 설정을 완료한 후 화면 우측 상단의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웹 소스는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에 배치됩니다.
      ​배치된 상태의 [웹 소스] 버튼을 터치하면 소스 편집 모드가 활성화됩니다. 소스 편집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두 손가락 터치로 크기와 회전을 조정할 수 있으며 한 손가락 터치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이미지 소스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미지 소스] 버튼으로 이미지 소스를 화면 레이아웃에 오버레이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소스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라이브 방송에 오버레이 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스입니다. 이미지 소스는 일반적인 사진보다는 게임 라이브를 설명하고 화면을 꾸미기 위한 배너 등을 라이브 방송 화면에 오버레이 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 [이미지 소스] 버튼을 선택하면 이미지 피커로 이동하여 이미지 소스에 사용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피커 상단에 앨범 목록이 제공되므로 사용하기 원하는 이미지를 보다 편리하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선택을 완료한 후 화면 우측 상단의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이미지 소스는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에 배치됩니다.
      ​배치된 상태의 [이미지 소스] 버튼을 터치하면 소스 편집 모드가 활성화됩니다. 소스 편집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두 손가락 터치로 크기와 회전을 조정할 수 있으며 한 손가락 터치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VTuber

    VTuber 소스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VTuber 소스] 버튼으로 VTuber 소스를 화면 레이아웃에 오버레이 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게임 라이브에서 스트리머의 모습 또는 스트리머의 모습을 대신하는 캐릭터를 라이브 방송의 한 구성 요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VTuber 소스를 라이브 방송 영상 내에 배치하여 시청자와 가깝게 소통하는 모습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다만 게임 라이브 모드에서 사용되는 VTuber 소스의 경우 아바타의 감정 전환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 [VTuber 소스] 버튼을 선택하면 VTuber 메뉴로 이동하여 VTuber 소스에 사용될 아바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아바타의 추가 및 편집은 캐릭터 라이브 모드에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아바타 선택을 완료한 후 화면 우측 상단의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VTuber 소스는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에 배치됩니다. VTuber 소스가 배치되며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의 좌측에 아바타의 입을 여는 기준 볼륨을 설정하는 슬라이더가 함께 제공되어 적절한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배치된 상태의 [Vtuber 소스] 버튼을 터치하면 소스 편집 모드가 활성화됩니다. 소스 편집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두 손가락 터치로 크기와 회전을 조정할 수 있으며 한 손가락 터치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메뉴

    화면 레이아웃 편집 메뉴의 우측 상단에 레이어가 겹친 모양의 레이어 버튼을 클릭하면 레이어 메뉴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메뉴를 통해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에 오버레이된 여러 소스들의 잠김 상태 설정 및 노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레이어 메뉴에는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에 오버레이 된 여러 소스의 항목이 목록으로 표시됩니다. 각 항목은 소스 타입 아이콘, 소스 이름, [열림/잠김] 버튼, 햄버거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열림/잠김 버튼

    각 소스 항목에서 [열림/잠김]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소스를 열림 또는 잠김 상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에 여러 소스를 오버레이 한 상태로 편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편집 대상이 아니었던 소스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열림/잠김 설정이 제공됩니다. 해당 소스를 잠김 상태로 설정하면 화면 레이아웃 프리뷰 영역에서 해당 소스를 편집할 수 없습니다.

    햄버거 버튼

    각 소스 항목에서 3개의 막대가 쌓여있는 모습의 햄버거 버튼을 이용하여 소스 간 노출 순서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햄버거 버튼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해당 소스 항목은 선택 상태로 빠르게 전환됩니다. 손가락을 상하 위치로 조정하며 해당 소스 항목의 노출 순서를 다른 소스 대비 앞과 뒤의 위치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화면 회전 버튼

    화면 레이아웃 편집 메뉴의 우측 상단에 스마트폰과 화살표가 결합된 모양의 화면 회전 버튼을 클릭하여 세로 화면 레이아웃 편집 모드와 가로 화면 레이아웃 편집 모드 간 전환할 수 있습니다.
    앱은 내부적으로 한 개의 세로 화면 레이아웃을 저장하고 또한 한 개의 가로 화면 레이아웃을 저장합니다. 화면 레이아웃을 편집하는 동안 언제라도 화면 회전 버튼을 클릭하여 두 개의 레이아웃 편집 모드 간 전환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모드 전환 시 각 모드에 추가된 소스들의 목록들은 동기화되지 않습니다.


    이 문서가 도움이 되었습니까?

    Changing your password will log you out immediately. Use the new password to log back in.
    First name must have atleast 2 characters.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are not allowed.
    Last name must have atleast 1 characters.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are not allowed.
    Enter a valid email
    Enter a valid password
    Your profile has been successfully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