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PDF
라이브 송출 설정
- 인쇄
- PDF
Classic/VP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라이브 송출 설정은 라이브 송출 영상의 품질을 결정하는 옵션의 설정을 의미합니다. 라이브 송출 영상의 품질은 라이브 송출 설정, 사용하는 기기의 성능과 상태,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안정성, 촬영 대상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모든 요소가 중요하지만 이 중 라이브 송출 설정을 통해 앱 내에서 라이브 송출 영상의 품질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 준비 화면
B2B PRISM Live Studio 모바일 앱을 실행한 후 화면 최하단 기능 목록 탭에서 [LIVE] 버튼을 클릭하여 라이브 모드로 진입합니다. 라이브 모드 화면 하단의 [Ready] 버튼을 클릭하면 라이브 준비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라이브 준비 화면 하단에는 [Go Live] 버튼이 표시됩니다.
라이브 준비 화면에서 송출 대상 플랫폼이 선택된 상태에서는 화면 내 채널 정보 카드 하단에 가 표시됩니다. 송출 대상 플랫폼 이름 바로 하단에 위치한 현재 설정된 해상도를 표시 중인
를 클릭하여 화질 옵션 메뉴로 이동합니다.
화질 옵션
화질 옵션 메뉴는 라이브 송출 영상의 품질을 설정하는 해상도, 화질 조정, 비트레이트, 프레임 속도, 키프레임 간격 옵션을 제공합니다. 설정된 각 항목의 값은 사용자가 다시 수정하기 이전까지 유지되어 이후의 라이브 송출에 사용됩니다.
해상도
라이브 송출 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합니다. 1080p, 720p, 480p, 360p 중 하나의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가장 높은 해상도인 1080p를 선택하는 경우 단위 시간당보다 많은 양의 영상 데이터를 송출해야 합니다. 따라서 현재 네트워크 대역폭이 충분하지 않다면 영상 데이터 송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버퍼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현재 사용 중인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해상도를 선택하십시오. 시청자가 주로 작은 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 720p 해상도의 라이브 영상에서도 충분한 품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충분하지 못한 네트워크 대역폭으로 인해 송출이 원활하지 못하다면 해상도를 조금씩 낮춰가며 테스트하여 최적의 해상도를 이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화질 조정
라이브 송출 영상의 화질 조정 옵션을 설정합니다. B2B PRISM Live Studio 모바일 앱은 가변과 고정이라는 두 가지 화질 조정 옵션을 제공합니다.
가변
가변 옵션을 설정하면 라이브 송출 영상에서 단위 시간당 사용하는 비트레이트의 양을 B2B PRISM Live Studio 모바일 앱의 송출 모듈이 동적으로 결정합니다. 비트레이트의 양을 동적으로 결정하는 기능의 이름은 ABP (Adaptive Bitrate Publish)입니다.
ABP 기능을 통하여 현재 네트워크 대역폭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일시적으로 불안정한 경우에도 라이브 방송의 품질이 저하될 수는 있지만 끊김 없이 시청자에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
라이브 방송이 끊기는 현상인 버퍼링은 매우 부정적인 시청자 경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활한 라이브 송출을 위해 가급적 가변 옵션을 선택하여 라이브 송출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고정
고정 옵션을 설정하면 라이브 송출 영상에서 단위 시간당 사용하는 비트레이트의 양을 사용자가 설정한 고정값으로 사용합니다. 네트워크 대역폭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일시적으로 불안정한 경우에는 사용자 기기에서 생성된 라이브 송출 영상 조각이 시청자에게 전달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시청자는 버퍼링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 충분히 안정적인 네트워크가 확보된 상태에서만 고정 옵션을 선택하여 라이브 송출 기능을 이용해야 합니다.
비트레이트
1초당 라이브 송출 영상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양을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옵션의 값인 6,000 kbps는 6,000 kilo bit per seccond를 의미합니다. 또한 1 bit는 8 byte를 의미하므로 라이브 송출 영상 1초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양이 750 KB인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1080p 해상도에서는 6,000 kbps~4,000 kbps가 권장되고 720p 해상도에서는 4,000 kbps~2,500 kbps가 권장됩니다. 그리고 권장 비트레이트를 초과하는 높은 비트레이트를 사용하여도 라이브 송출 영상의 품질이 눈에 띄게 향상되지는 않습니다. PRISM Live Studio 모바일 앱의 비트레이트 목록에서는 현재 사용자의 환경에 맞는 최적의 비트레이트를 추천합니다.
원활한 라이브 송출을 위해 가급적 추천 비트레이트를 이용해 주십시오.
프레임 속도
라이브 송출 영상을 포함하는 모든 동영상은 여러 장의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람의 눈은 빠르게 전환되는 여러 장의 사진을 동영상으로 인식합니다. 프레임 속도는 1초의 동영상을 구성하는 사진, 즉 프레임의 수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프레임 수가 많은 경우 보다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프레임 속도 메뉴 옵션 값은 15 fps, 24 fps, 30 fps, 60 fps로 구성됩니다.
- 60 fps는 B2B PRISM Live Studio iOS 앱에서만 제공되며 B2B PRISM Live Studio 안드로이드 앱에서는 안정성 등을 원인으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 일반적으로 30 fps 옵션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단위 시간당 프레임 수가 적어지면 라이브 송출 영상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충분하지 못한 네트워크 대역폭으로 인해 송출이 원활하지 못하다면 프레임 속도를 조금씩 낮춰가며 테스트하여 최적의 프레임 속도를 이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키 프레임 간격
앞서 라이브 송출 영상을 포함하는 모든 동영상은 여러 장의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라이브 송출 영상을 인코딩하는 과정에서 그 용량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동영상 압축 기법이 사용됩니다. 그 중 연속되는 사진에서 변경되는 부분만을 활용하여 동영상의 용량을 줄이는 압축 기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압축 과정에서도 단위 시간별로 전체 온전한 사진을 삽입하여 품질 저하를 방지합니다.
키 프레임은 여기에서 전체 온전한 사진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키 프레임 간격은 전체 온전한 사진이 동영상에 삽입되는 시간 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옵션 값은 1 s (1초), 2 s (2초), 3 s (3초)가 제공됩니다.
글로벌 주요 라이브 플랫폼들은 송출 도구에서 2초의 키 프레임 간격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B2B PRISM Live Studio 모바일 앱의 키 프레임 간격 기본값도 2초입니다. 원활한 라이브 송출을 위해 가급적 추천 키 프레임 간격을 이용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