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PDF
블록 스토리지 사용(Storage)
-
인쇄
-
PDF
서버의 기본 스토리지 외의 HDD 또는 SSD 스토리지를 추가로 생성하여 서버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서버 한 대당 최대 2 TB 크기의 스토리지를 15개까지 추가할 수 있습니다. 서버 생성 시 기본 스토리지가 1개 존재하므로 실제로 추가할 수 있는 추가 스토리지는 15개입니다. 추가한 스토리지는 삭제 또는 이전하거나 크기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Micro 타입 서버, 베어메탈 서버는 스토리지를 추가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스토리지 추가
스토리지를 추가하려면 먼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스토리지를 추가해야 합니다. 콘솔에서 스토리지를 추가한 후 디스크 파티션, 포맷, 마운트 등 필요한 준비 작업을 완료하면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콘솔에서 스토리지 추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스토리지를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Services > Compute > Server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Storage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
[스토리지 생성]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설정 팝업 창에서 설정을 지정한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보유하고 있는 스냅샷을 사용하여 스토리지를 생성하려면 스냅샷 선택에서 사용할 스냅샷을 선택해 주십시오(스냅샷을 사용하여 스토리지 생성 참조).
- 스토리지의 최소 크기는 10 GB이며 10의 배수 단위로 크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확인 팝업 창의 내용을 확인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선택한 서버에 스토리지가 추가되고, 추가된 스토리지가 스토리지 목록에 표시됩니다.
스토리지 마운트(Linux)
추가한 스토리지를 사용하려면 서버에 스토리지를 마운트 해야 합니다. 다음 단계를 차례로 진행하여 추가한 스토리지를 Linux 서버에 마운트 해 주십시오.
- 디스크 이름은 스토리지 상세정보의 연결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디스크 이름이
/dev/xvdb
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합니다.
1. 스토리지 상태 확인
- Linux 서버 접속을 참조하여 추가 스토리지를 마운트 할 Linux 서버에 접속해 주십시오.
su -
명령을 실행한 후 비밀번호를 한 번 더 입력해 주십시오.- root 권한으로 로그인됩니다.
fdisk -l
명령어를 실행하여/dev/xvdb
디스크가 추가된 것을 확인해 주십시오.
2. 디스크 파티션
fdisk /dev/xvdb
명령어를 입력해 주십시오.n
을 입력해 주십시오.- 생성할 파티션이 primary type이면
p
, extended type이면e
를 입력해 주십시오. - 생성할 파티션의 번호와 섹터 영역을 입력해 주십시오.
- 디스크 전체를 마운트하려는 경우 기본값을 입력해 주십시오.
w
를 입력해 주십시오.- 파티션 설정이 적용됩니다.
3. 스토리지 포맷
아래 명령어 중에서 마운트하려는 서버의 이미지에 알맞은 명령어를 실행하여 디스크를 포맷해 주십시오.
- CentOS 5.x:
mkfs.ext3 /dev/xvdb1
- CentOS 6.x:
mkfs.ext4 /dev/xvdb1
- CentOS 7.x:
mkfs.xfs /dev/xvdb1
- Ubuntu Server / Desktop:
mkfs.ext4 /dev/xvdb1
4. 스토리지 마운트
mkdir /mnt/a
명령을 실행해 주십시오./mnt/a
마운트 포인트가 생성됩니다.
mount /dev/xvdb1 /mnt/a
명령어를 실행해 주십시오./mnt/a
에 스토리지가 마운트됩니다. 이제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려면 df -k
명령어를 실행해 주십시오.
5. 마운트 정보 유지 설정(fstab 설정)
Linux 서버를 부팅한 후에도 마운트 정보를 유지하려면 /etc/fstab
에서 볼륨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etc/fstab
은 부팅 단계에서 마운트되어야 할 볼륨 정보들이 저장되는 경로입니다.
부팅 후 스토리지 마운트 정보를 유지하도록 볼륨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xvdb1
볼륨을 예시로 들어 설명하며, 볼륨의 다른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함께 설명합니다.
-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볼륨 정보를 표시해 주십시오.
vi /etc/fstab
-
아래 표를 참조하여
xvdb1
볼륨의 설정을 추가해 주십시오.-
볼륨 정보 예시
/dev/xvdb1 /mnt/a ext3 defaults 1 2
열 값 나타내는 설정 설명 /dev/xvdb1
볼륨 이름 해당 볼륨의 이름을 표시 /mnt/a
마운트 포인트 볼륨이 마운트될 위치 ext3
파일 시스템 종류 ext3
: CentOS 5.xext4
: CentOS 6.x, Ubuntu Server/Desktopxfs
: CentOS 7.xdefaults
옵션 defaults
: 아래 5개 옵션을 모두 적용auto
: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rw
: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도록 마운트nouser
: root 계정만 마운트가 가능하도록 설정exec
: 파일 실행을 허용suid
:SetUID
와SetGID
를 허용1
덤프 설정 0
: 덤프되지 않는 파일 시스템1
: 덤프 가능한 파일 시스템2
fsck
설정0
: 부팅 시fsck
를 실행하지 않음1
: 부팅 시root
파일 시스템을 우선하여 확인2
: 부팅 시root
이외의 파일 시스템을 우선하여 확인
-
-
:wq
명령을 실행하여 변경한 설정을 저장한 후 vi 에디터를 종료해 주십시오.
스토리지 볼륨 등록(Windows)
추가한 스토리지를 사용하려면 서버에 스토리지를 볼륨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다음 단계를 차례로 진행하여 추가한 스토리지를 Windows 서버에 볼륨으로 등록해 주십시오.
1. 디스크 초기화
- Windows 서버 접속을 참조하여 추가 스토리지를 볼륨으로 등록할 Windows 서버에 접속해 주십시오.
- 시작 > Windows 관리 도구 > 컴퓨터 관리 > 디스크 관리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실행 창에
diskmgmt.msc
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할 수도 있습니다.
- 실행 창에
- 디스크 초기화 팝업 창에서 추가할 디스크를 선택하고 MBR(마스터 부트 레코드) 를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디스크가 초기화됩니다.
- 팝업 창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 디스크 목록에서 할당되지 않음이 표시된 디스크를 찾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디스크 초기화를 클릭해 주십시오.
2. 볼륨 생성 및 포맷
- 디스크 목록에서 할당되지 않음이 표시된 디스크를 찾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새 단순 볼륨을 클릭해 주십시오.
-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단순 볼륨 크기를 입력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할당할 드라이브 문자를 선택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파티션 포맷을 설정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설정 내용을 확인한 후 [마침]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포맷이 완료되고 해당 디스크의 상태가 "정상"으로 표시됩니다. 이제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볼륨 할당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려면 Windows 탐색기의 시작 메뉴에서 내 PC를 클릭한 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목록을 확인해 주십시오.
스토리지 크기 확장
사용 중인 스토리지의 크기를 스토리지 당 2 TB까지 확장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스토리지 크기를 확장하고 서버의 시스템에 맞게 파티션 및 파일 시스템을 변경해 주십시오.
스토리지의 크기를 확장한 후 파티션 및 파일 시스템 변경 작업 수행 시 스토리지의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스냅샷 생성 후 스토리지 크기를 변경해 주십시오.
- 운영 중인 서버에 연결된 스토리지의 크기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스토리지가 연결된 서버를 정지하거나 스토리지의 연결을 해제한 후 크기를 변경해 주십시오.
- 스토리지 크기는 더 크게 확장하는 것만 가능하며 더 줄일 수는 없습니다.
- SSD의 경우 디스크 크기가 커지면 IOPS 수치도 비율에 맞게 변경됩니다.
- Standard, High Memory 서버 타입에서 스토리지 크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지 크기 변경 가능 여부는 스토리지 상세 정보의 '크기 변경 여부' 항목을 확인해 주십시오.
콘솔에서 스토리지 크기 확장(Classic)
Classic 환경에서 스토리지 크기를 확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Classic 환경에서 Services > Compute > Server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Storage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 스토리지 목록에서 크기를 변경할 스토리지를 선택한 후 크기 변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 변경할 크기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스토리지 크기가 변경됩니다.
파티션 및 파일 시스템 확장(Linux)
Linux 서버에서 파티션 및 파일 시스템을 확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에서는 /dev/xvdb1
스토리지를 예시로 들어 설명합니다.
-
Linux 서버 접속을 참조하여 Linux 서버에 접속해 주십시오.
-
su -
명령을 실행한 후 비밀번호를 한 번 더 입력해 주십시오.- root 권한으로 로그인됩니다.
-
lsblk
명령을 실행하여/dev/xvdb1
스토리지 상태를 확인해 주십시오. -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xvdb1
스토리지의 마운트를 해제해 주십시오.unmount /dev/xvdb1
-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파티션을 확장해 주십시오.
growpart /dev/xvdb 1
참고growpart
명령을 실행할 수 없는 경우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운영 체제에 알맞은 패키지를 설치해 주십시오.- CentOs 6 32bit
wget https://archives.fedoraproject.org/pub/archive/epel/6/i386/Packages/c/cloud-utils-growpart-0.27-10.el6.i686.rpm yum localinstall -y cloud-utils-growpart-0.27*.rpm
- CentOs 6 64bit
wget https://archives.fedoraproject.org/pub/archive/epel/6/x86_64/Packages/c/cloud-utils-growpart-0.27-10.el6.x86_64.rpm yum localinstall -y cloud-utils-growpart-0.27*.rpm
- CentOs 7
yum install cloud-utils-growpart
- Ubuntu 12.04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cloud-utils
- Ubuntu 14.04, Ubuntu 16.04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cloud-guest-utils
- CentOs 6 32bit
-
lsblk
명령을 실행하여 파티션이 확장된 것을 확인한 후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 상태를 확인해 주십시오.e2fsck -f /dev/xvdb1
-
아래 명령 중 사용 중인 파일 시스템에 알맞은 명령을 실행하여 파일 시스템의 크기를 변경해 주십시오.
- ext2, ext3, ext4
resize2fs /dev/xvdb1
- xfs
xfs_growfs /dev/xvdb1
- ext2, ext3, ext4
-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확장이 완료된 파티션을 마운트해 주십시오.
mount /dev/xvdb1 /data
확장 및 마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려면 df -h
명령을 실행해 주십시오.
파티션 및 파일 시스템 확장(Windows)
Windows 서버에서 파티션 및 파일 시스템을 확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Windows 서버 접속을 참조하여 Windows 서버에 접속해 주십시오.
-
시작 > Windows 관리 도구 > 컴퓨터 관리 > 디스크 관리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실행 창에
diskmgmt.msc
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할 수도 있습니다.
- 실행 창에
-
표시되는 목록에서 확장할 파티션을 찾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한 후 볼륨 확장을 클릭해 주십시오.
- 콘솔에서 스토리지 크기를 정상적으로 확장하였다면 확장한 크기만큼의 할당되지 않음 용량이 대상 디스크에 표시되며, 해당 디스크에 확장할 파티션이 있습니다.
-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확장할 공간을 입력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설정 내용을 확인한 후 [마침]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디스크 볼륨이 확장됩니다.
서버 연결 해제(Classic)
스토리지와 서버의 연결을 해제하고 다른 서버에 다시 연결하면 스토리지를 이전할 수 있습니다. Classic 환경에서 서버에 연결된 스토리지의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Classic 환경에서 Services > Compute > Server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Storage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 스토리지 목록에서 연결을 해제할 스토리지를 선택한 후 [서버에 연결 해제]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확인 팝업 창의 내용을 확인한 후 [예]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스토리지와 서버의 연결이 해제되고 스토리지 상태가 사용 가능으로 표시됩니다.
서버에 연결(Classic)
Classic 환경에서 서버에 연결되어있지 않은 스토리지를 서버에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Classic 환경에서 Services > Compute > Server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Storage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 스토리지 목록에서 서버에 연결할 스토리지를 선택한 후 [서버에 연결]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스토리지 상태가 사용 가능인 경우만 서버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 연결할 서버를 선택한 후 [예]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스토리지가 선택한 서버에 연결됩니다. 스토리지를 사용하려면 스토리지의 마운트 작업(Linux) 또는 볼륨 등록 작업(Windows)을 진행해 주십시오.
서버가 생성될 때 함께 생성되는 기본 스토리지는 연결을 해제할 수 없습니다.
스토리지 삭제
추가한 스토리지를 삭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토리지를 삭제하면 해당 스토리지 내의 데이터가 함께 삭제되며, 삭제한 데이터는 복구할 수 없습니다. 삭제 전 반드시 스토리지 내의 데이터를 확인해 주십시오.
- 서버가 생성될 때 함께 생성되는 기본 스토리지는 연결을 해제할 수 없습니다.
- 서버에 연결된 스토리지는 삭제할 수 없습니다. 먼저 연결을 해제한 후 삭제해 주십시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Services > Compute > Server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Storage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 스토리지 목록에서 삭제할 스토리지를 선택한 후 [스토리지 삭제]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확인 팝업 창의 내용을 확인한 후 [예]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스토리지가 반납되고 목록에서 삭제됩니다.
Linux 서버에 연결되었던 스토리지의 경우, 콘솔에서 스토리지를 삭제한 후 연결되었던 서버의 /etc/fstab
에서 마운트 정보를 삭제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