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PDF
상세 모니터링 사용 가이드
- 인쇄
- PDF
Classi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사용하기 전에
Q. Monitoring 서비스는 무엇인가요?
- Monitoring 서비스는 서버와 Auto Scaling을 생성한 Auto Scaling 그룹에 대해 다양한 모니터링 정보, 이벤트 발생 및 통보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Q. Monitoring 서비스 신청과 해지는 어떻게 하나요?
- 서버 Monitoring 서비스를 신청하려면 Server 영역에서 해당 서버를 선택한 후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상세 모니터링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 Monitoring 서비스를 해지하려면 Server 영역에서 Monitoring 서비스를 신청한 서버를 선택한 후,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상세 모니터링 설정 변경을 클릭하거나 Monitoring 영역에서 상세 모니터링 해지를 클릭합니다.
- Auto Scaling 그룹의 Monitoring 서비스 신청 및 해지는 Server 영역에서 Auto Scaling 그룹을 생성한 후, Auto Scaling 모니터링 메뉴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API 및 관리 콘솔의 GUI 환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서버의 Monitoring 서비스 신청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콘솔에 접속한 후 다음의 단계를 통해 쉽게 Monitoring 서비스를 신청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콘솔 접속: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콘솔에 접속하여 Monitoring 메뉴를 선택합니다.
- 상세 모니터링 설정: 서버 선택 후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메뉴에서 상세 모니터링 설정을 선택합니다.
- 대시보드: 상세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서버에 대해 중요한 요약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모니터링 현황: 상세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서버에 대해 다양한 모니터링 성능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벤트 발생/설정 현황: 상세 모니터링 신청 서버에 대해 이벤트를 설정하고 발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설정에는 특정 항목, 임계치, 통보 대상자 및 통보 방법(메일, SMS) 등이 포함됩니다.
- 통보 대상 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담당자가 여러 명인 경우 이벤트 발생 통보를 위해 통보 대상자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Q. Auto Scaling 그룹의 Monitoring 서비스 이용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콘솔에 접속한 후 다음의 단계를 통해 쉽게 Monitoring 서비스를 신청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콘솔 접속: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콘솔에 접속하여 Monitoring 메뉴를 선택합니다.
- Auto Scaling 그룹 모니터링 현황: 생성한 Auto Scaling 그룹에 대해 다양한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uto Scaling 그룹 이벤트 로그: 생성한 Auto Scaling 그룹에 대해 설정한 이벤트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uto Scaling 그룹 이벤트 설정: 생성한 Auto Scaling 그룹에 대해 이벤트를 설정하고 발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 설정에는 특정 항목, 임계치, 통보 대상자 및 통보 방법(메일, SMS) 등이 포함됩니다.
- 통보 대상 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담당자가 여러 명인 경우 이벤트 발생 통보를 위해 통보 대상자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Q. 기존의 모니터링과 그룹 모니터링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단일 서버 모니터링 | 서버 그룹 모니터링 | |
---|---|---|
관리 콘솔에서 제공되는 메뉴 | Server > 모니터링 Monitoring > 서버 모니터링 | Monitoring > Auto Scaling 모니터링 |
대상 | 서버 한 대 | 서버 여러 대의 평균(average)값 |
기능 | 모니터링 및 이벤트 설정(12개의 이벤트 항목과 57개의 이벤트 세부 항목 설정 가능) 통보 대상 설정으로 이벤트 발생 시 메일/SMS 알람 | 모니터링 및 이벤트 설정(6개의 이벤트 항목과 15개의 이벤트 세부 항목 설정 가능) 통보 대상 설정으로 이벤트 발생 시 메일/SMS 알람 |
상세 모니터링 신청
Step 1. 콘솔 접속
콘솔에 접속합니다.
① 최초 접근 시 좌측 메뉴에 Server, Monitoring 메뉴가 없습니다. + 버튼을 클릭하여 모든 서비스 메뉴를 확인합니다.
① Server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Server의 즐겨찾기 버튼을 클릭하여 좌측 메뉴에 추가합니다.
② Monitoring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Monitoring의 즐겨찾기 버튼을 클릭하여 좌측 메뉴에 추가합니다.
Step 2. 상세 모니터링 신청
상세 모니터링을 신청합니다.
① Server > Server를 클릭하여 현재 기동 중인 서버를 확인합니다.
② 상세 모니터링을 신청하려는 서버를 선택하고 상단의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상세 모니터링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③ 상세 모니터링 신청 여부를 확인하고 [예] 를 클릭합니다.
④ [확인] 을 클릭하고 모니터링 대시보드로 이동합니다.
Step 3. 대시보드
서비스별 상세 모니터링 현황 및 요약 정보를 확인합니다.
① Monitoring > Integrated Dashboard를 선택합니다.
② 하루 동안 발생, 종료된 이벤트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자세히보기를 클릭하면 Event Dashboard로 전환되며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최근 1주일 동안의 이벤트 발생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Monitoring > Dashboard > Event Dashboard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그래프에 있는 점을 클릭하면 Event Dashboard로 전환되며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④ 상세 모니터링을 신청한 서버 중에서 항목별로 최근 1분 수치 기준의 Top 5 서버를 정렬하여 나타냅니다.
- 자주 확인하는 CPU Used(%), Memory Used(%), File System Used(%)를 기준으로 정렬됩니다.
- 서버명을 클릭하면 해당 서버의 성능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ep 4. 모니터링 현황
서버의 상세 모니터링 정보를 확인합니다.
① Dashboard > Search Dashboard를 선택합니다.
② 상세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장비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서버명으로 검색 가능합니다.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하며 다중 검색, '%'를 이용한 like 검색이 가능합니다.
- IP Address, Status 검색이 가능합니다.
③ 상세 모니터링 서비스를 신청한 장비들의 세부 성능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서버의 상태, 구성 정보 및 8개의 성능 정보를 목록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목록의 서버가 여러 개일 경우 최상단 서버가 자동 선택되고 선택된 서버의 Chart, Process, File System 정보를 화면 하단에서 볼 수 있습니다.
목록에서 선택된 성능 Chart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최근 8일까지는 1분 주기, 1달까지는 5분 주기, 3년까지는 2시간 주기로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④ Chart 내 기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초기 화면에서 1시간 내의 성능 Chart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⑤ Compare, Sync Tooltip, Fix Y-Axis 기능을 제공합니다.
- Compare는 'No'가 기본입니다. 1일, 3일, 1주일을 선택 가능하며 A day(1일)를 선택 시 하루 전 성능값이 Chart에 추가됩니다. 동일 시간의 성능값과 비교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 각 Chart에 마우스 오버 시 해당 시점의 성능값(MIN, MAX, AVG)을 툴팁으로 제공합니다.
- Sync Tooltip을 클릭하면 11개의 전체 Chart에 툴팁이 표시되어 여러 성능값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Fix Y-Axis On으로 설정 시 Y축 Max 값이 지정된 성능값의 경우 Y축이 Max 값으로 고정됩니다. % 단위의 성능 Chart의 경우 Y축이 100으로 고정됩니다.
⑥ zoom 기능, 범례 선택 기능 제공
- 그래프 내 영역을 Box 형태로 드래그하면 zoom 기능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 원하는 범례를 클릭하면 그래프 선을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⑦ 최근 1분에 수집한 Process 정보를 목록으로 볼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명으로 검색 가능합니다.
⑧ 최근 1분에 수집한 File System 정보를 목록으로 볼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명으로 검색 가능합니다.
선택한 서버의 '서버 기준 비교 그래프'를 확인합니다.
① 해당 서버를 선택하고 Chart 비교를 클릭합니다.
- 최대 10대 서버를 선택하여 비교할 수 있습니다.
② Chart 영역에서 선택된 서버의 비교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그래프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Chart 비교 결과 Chart에서도 동일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Step 5. 이벤트 발생 현황
이벤트 발생/종료 현황을 확인합니다.
① 검색 기능을 제공합니다. Hostname 검색 기능을 제공하며 Keyword 검색은 기본 like 검색 기능을 제공합니다.
② 검색 결과에 의한 이벤트 목록을 보여줍니다.
③ 이벤트 목록에서 선택된 이벤트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④ 해당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에 성능 그래프들을 보여 줍니다.
Step 6. 이벤트 설정 현황
이벤트 설정 현황에서 이벤트를 신규 등록해 보세요.
각 서버에는 복수 개의 감시 설정(이벤트)을 등록할 수 있으며 각 감시 설정에는 복수 개의 통보 설정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감시 설정(이벤트)은 통보 설정은 알림을 받을 사람, 알림을 보내는 방법(sms/mail)으로 이루어집니다.
감시 설정 신규 등록
① 이벤트/통보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해 좌측 메뉴에서 New Observation을 클릭하거나 하단 [+감시 설정 등록] 을 클릭합니다.
② 서버를 선택하고 하단에 감시 설정을 클릭합니다.
이벤트 항목을 설정합니다.
① 분류, 항목, 임계치, 단위, 비교, 지속 시간, 심각도, 상세 등을 설정하고 [+추가] 를 클릭합니다.
- 프로세스명은 정규 표현식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 파일 시스템 이벤트 항목에서 상세 경로 입력 시 Linux의 경우 '/' 경로로 입력하고, Windows의 경우 'C:, D:' 등의 경로로 반드시 대문자로 입력합니다.
이벤트 항목에 대한 상세 설명은 모니터링 감시 설정 항목별 설명에 자세히 서술하고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② 저장된 감시 설정 Template이 존재하는 경우 검색, 선택 후 [+ 적용] 을 클릭하면 목록에 자동 노출됩니다.
감시 설정, 통보 설정 Template에 대한 상세 설정은 감시 설정 Template, 통보 설정 Template에 자세히 서술하고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③ [통보 설정] 을 클릭하면 통보 설정 과정으로 넘어 갑니다. 서버 선택을 다시 하고 싶으시면 서버 이미지 선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통보 대상을 설정합니다.
① 통보 대상자를 검색/선택, 통보 방법을 설정한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② 저장된 통보 설정 Template이 존재하는 경우 검색, 선택 후 [+ 적용] 버튼을 클릭하면 목록에 자동 노출됩니다.
감시 설정, 통보 설정 Template에 대한 상세 설정은 감시 설정 Template, 통보 설정 Template에 자세히 서술하고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③ 이름으로 통보 대상자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통보대상관리 버튼을 클릭하고 통보 대상 관리 페이지에서 추가합니다.
④ [최종 확인] 을 클릭하면 최종 확인 과정으로 넘어 갑니다. 감시 설정을 다시 작성하고 싶다면 감시 설정을 클릭합니다.
이벤트 설정 내역을 최종 확인합니다.
① 서버, 감시 설정, 통보 설정 내역을 최종 확인 후, [최종 확인] 을 클릭합니다.
설정한 내역이 'Observation' 목록에 반영되었는지 확인합니다.
① 해당 서버에 설정한 내역이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Observation' 목록에서 확인합니다. 이벤트 설정한 서버를 클릭하면 설정 내역이 나타납니다.
감시/통보 설정 추가
감시/통보 설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① 좌측 메뉴에서 Observation List를 클릭합니다.
② 감시/통보 설정을 추가할 장비를 선택합니다.
③ 감시/통보 추가를 클릭합니다. 서버만 선택하면 하위 버튼 중 감시/통보 추가만 활성화됩니다.
선택에 따른 버튼 활성화 여부는 아래와 같습니다.
- 서버 선택 시 [감시/통보 추가] 버튼 활성화
- 감시 설정 선택 시 [감시 설정 수정], [+ 통보 추가], [삭제] 버튼 활성화
- 통보 설정 선택 시 [통보 설정 수정], [삭제] 버튼 활성화
- 감시 설정, 통보 설정 선택 시 [삭제] 버튼 활성화
- 위 규칙에 어긋나는 선택 시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① 신규 등록과 동일한 과정으로 감시 설정 정보와 통보 설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② [저장] 을 클릭하면 추가 과정이 종료됩니다.
감시 설정 수정
등록된 감시 설정 정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① 서버를 클릭하여 펼칩니다. 이후 수정하고자 하는 감시 설정을 선택합니다.
② [감시 설정 수정] 을 클릭합니다.
① 임계치, 비교, 지속시간, 심각도, 상세에 대한 수정이 가능합니다. 변경하고자 하는 값을 수정합니다.
② [저장] 을 클릭하면 수정 과정이 종료됩니다.
통보 설정 추가
① 서버를 클릭하여 펼침니다. 통보 설정을 추가하고자 하는 감시 설정을 선택합니다.
② [통보 추가] 를 클릭합니다.
① 알림을 받을 대상자를 검색, 선택 후 통보 방법을 선택합니다.
② [저장] 를 클릭하면 추가 과정이 종료됩니다.
통보 설정 수정
① 수정하고자 하는 통보 설정을 선택합니다.
② 하위 버튼에서 [통보 설정 수정] 을 클릭합니다.
① 통보 방법을 수정합니다.
② [저장] 을 클릭하면 수정 과정이 종료됩니다.
삭제
감시 설정을 삭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서버를 클릭하여 펼칩니다. 삭제하고자 하는 감시 설정을 선택합니다.
②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감시 설정이 삭제됩니다.
- 감시 설정 삭제 시 감시 설정 하위에 통보 설정도 모두 삭제됩니다.
- 서버만 선택하면 [삭제]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특정 서버의 감시 설정 모두를 삭제하고 싶다면 감시 설정 상단에서 전체 선택 클릭 이후 [삭제]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통보 설정을 삭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삭제하고자 하는 통보 설정을 선택합니다.
②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통보 설정이 삭제됩니다.
Step 7. 통보 대상 관리
통보 대상을 설정합니다.
① '대상자그룹'을 이용하여, 대상자를 개별적으로 설정하지 않고 그룹별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룹 성격에 따라 그룹을 분류하여 관리합니다.
- + 버튼을 클릭하면 새 그룹명을 입력할 공간이 나타납니다. 그룹명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생성된 그룹명은 삭제/수정 가능합니다.
② 설정한 그룹에 포함될 관리자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대상자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관리자 이름, 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등을 입력하고 등록합니다.
Step 8. 통보 일시정지
이벤트 발생 시 메일 및 SMS 통보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통보 일시정지를 원하는 서버를 선택합니다.
② [알람 중지] 버튼을 클릭합니다.
③ 통보 일시정지 설정 내역을 입력하고, 중지를 클릭합니다.
- 목적, 기간, 등록자 등을 입력합니다.
'통보 일시정지'는 배치 작업 등으로 이벤트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통보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고 싶을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통보를 일시정지해도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발생 현황에는 기록되며, 메일 및 SMS로 발송되는 통보만 정지됩니다. 일시정지 설정 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원상복귀되며, 알람 받기를 클릭하면 설정 기간이 지나기 전에도 인위적으로 원상복귀가 가능합니다.
Auto Scaling 모니터링
Auto Scaling 그룹 모니터링 현황
Auto Scaling 그룹의 설정된 모니터링 항목을 확인합니다.
① 모니터링 정보를 항목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6항목이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② 확인하고자 하는 항목을 수정/추가할 경우, [모니터링 그룹 목록] 을 클릭하여 적용합니다. 최대 10개 항목까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③ 그룹 그래프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Auto Scaling 그룹 이벤트 로그
설정한 이벤트 로그를 Auto Scaling 그룹별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① 이벤트 발생 시간을 설정하여 Auto Scaling 그룹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상세 정보(그래프)로도 확인 가능합니다.
Auto Scaling 그룹 이벤트 설정
Auto Scaling 그룹에 이벤트 및 Policy를 설정합니다.
① 이벤트 설정할 Auto Scaling 그룹을 선택합니다.
② 그룹 이벤트 설정을 클릭합니다.
③ 이벤트 항목 및 임계치, Policy, 통보 대상 등을 선택하고 [추가] 후 [예] 버튼을 클릭합니다.
- a. 설정할 수 있는 이벤트 항목은 6개입니다(CPU, Memory, Disk I/O, Network, Load Average, 파일 시스템). 이벤트 항목에 따라 세부 항목, 임계치, 비교, 지속 시간을 설정해 주세요.
- 이벤트 항목 설정 예제
1. 프로세스명은 정규 표현식으로 등록해야 합니다.
2. 파일시스템 이벤트 항목에서 '상세 경로' 입력 시 Linux의 경우, '/'경로로 입력 | Windows의 경우, 'C:, D:' 등의 경로로 반드시 대문자로 입력합니다.
이벤트 항목에 대한 상세 설명은 모니터링 감시 설정 항목별 설명에 자세히 서술하고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 b. 설정한 policy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하면 Auto scaling이 실행되는데, Scale-in 또는 Scale-out 동작으로 수행됩니다.
- c. 이벤트 발생 시 알람(메일, SMS)을 받을 대상자를 선택합니다. Monitoring > 통보 대상 관리에서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감시 설정 항목별 설명
모니터링 항목 | 상세항목 | 이벤트 발생 조건 | 설정항목 | 예시 | 비고 |
---|---|---|---|---|---|
CPU | used(%) | CPU 사용량(%)의 1분 평균 값이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사용량 ▲▲%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CPU 사용량이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CPU Core별 감시 설정이 아닌, 전체 Core의 합산 값을 대상으로 감지됨 |
CPU | iowait(%) | CPU iowait(%) 1분 평균 값이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사용량 ▲▲%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CPU iowait가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CPU Core별 감시 설정이 아닌, 전체 Core의 합산 값을 대상으로 감지됨 |
Memory | used(%) | Memory 사용량(%)의 1분 평균 값이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사용량 ▲▲%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Memory 사용량이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
Swap | used(%) | Swap 사용량(%)의 1분 평균 값이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사용량 ▲▲%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Swap 사용량이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
Disk I/O | read bytes | Disk의 초당 read byte가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 bytes/sec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Disk의 read bytes/sec가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
Disk I/O | write bytes | Disk의 초당 write byte가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 bytes/sec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Disk의 write bytes/sec가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
Network | bps in | NIC의 초당 inbound byte가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전송속도 ▲▲▲bytes/sec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해당 NIC의 inbound bytes/sec가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감시하려는 network interface의 이름을 명시필요 (ex. eth0, bond0 등) |
Network | bps out | NIC의 초당 outbound byte가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전송속도 ▲▲▲bytes/sec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해당 NIC의 outbound bytes/sec가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감시하려는 network interface의 이름을 명시필요 (ex. eth0, bond0 등) |
Network | pps in | NIC의 초당 inbound packet이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전송속도 ▲▲▲packets/sec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해당 NIC의 inbound packets/sec가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감시하려는 network interface의 이름을 명시필요 (ex. eth0, bond0 등) |
Network | pps out | NIC의 초당 outbound packet이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전송속도 ▲▲▲packets/sec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해당 NIC의 outbound packets/sec가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감시하려는 network interface의 이름을 명시필요 (ex. eth0, bond0 등) |
파일감시 | 크기 | 설정 시점으로부터, 파일의 크기가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파일크기 ▲▲▲KB 2.이상 3.지속시간 OO분 4.전체경로 파일명 (예시)/tmp/abc.ext | /tmp/abc.ext 라는 파일의 사이즈가 ▲▲▲ KB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감시하려는 파일에 nbpmon user로의 접근권한이 필요 |
파일감시 | 변경 | 설정 시점으로부터, 미리 지정한 시간동안 매분마다 파일이 수정되는 경우 발생한다. | 1.지속시간 OO분 2.전체경로 파일명 (예시)/tmp/abc.ext | /tmp/abc.ext 라는 OO분 동안 매분마다 연속적으로 파일이 수정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예를들어, 0분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파일이 수정되는 경우 바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2분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설정한 시점으로부터 1분 내에도 파일이 수정되었고, 연속적으로 다음 1분 내에도 파일이 수정된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감시하려는 파일에 nbpmon user로의 접근권한이 필요 |
파일감시 | 무변경 | 설정 시점으로부터, 미리 지정한 시간동안 파일이 수정되지 않는 경우 발생한다. | 1.지속시간 OO분 2.전체경로 파일명 (예시)/tmp/abc.ext | /tmp/abc.ext 라는 파일이 OO분 동안 수정되지 않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감시하려는 파일에 nbpmon user로의 접근권한이 필요 |
파일감시 | 파일존재유무 | 파일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발생한다. | 1.전체경로 파일명 (예시)/tmp/abc.ext | /tmp/abc.ext 라는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감시하려는 파일에 nbpmon user로의 접근권한이 필요 |
파일시스템 | used(%) | 파일시스템의 사용량(%)이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사용량 ▲▲% 2.이상 3.지속시간 OO분 4.Mounted Directory명 (예시) /home | /home 이라는 Mounted Directory의 사용량(%)이 ▲▲ %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network mount 파일시스템의 경우 감시 불가 (예시) nfs, fuse |
Load Average | 로드평균(1분) | Load Average의 1분 평균 값이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Load Average 1분 평균 ▲▲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Load Average의 1분 평균 값이 ▲▲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Linux 서버에서만 감시 설정 가능 |
Load Average | 로드평균(5분) | Load Average의 5분 평균 값이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Load Average 5분 평균 ▲▲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Load Average의 5분 평균 값이 ▲▲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Linux 서버에서만 감시 설정 가능 |
Load Average | 로드평균(15분) | Load Average의 15분 평균 값이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Load Average 15분 평균 ▲▲ 2.이상 3.지속시간 OO분 | Load Average의 15분 평균 값이 ▲▲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Linux 서버에서만 감시 설정 가능 |
로그감시 | 파일로그 | 설정 시점으로부터, 감시하려는 파일에 미리 지정한 시간동안 매분마다 임계치 문자열이 포함/비포함되는 경우 발생한다. | 1.로그 매칭 문자열 (예시)Exception 2.포함/비포함 3.지속시간 OO분 4.전체경로 파일명 (예시)/tmp/abc.log | /tmp/abc.log 라는 파일에 OO분 동안 매분마다 연속적으로 문자열 Exception을 포함/비포함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0분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매칭 문자열이 포함/비포함되는 경우 바로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2분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설정한 시점으로부터 1분 내에도 매칭 문자열이 포함/비포함되었고, 연속적으로 다음 1분 내에도 매칭 문자열이 포함/비포함된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감시하려는 파일에 nbpmon user로의 접근권한이 필요, 인코딩은 UTF-8을 사용 |
프로세스 | 프로세스 다운 | 프로세스가 다운되어 있는 경우 발생한다. | 프로세스 매칭 문자열 (예시)snmp | snmp라는 문자열을 갖는 프로세스의 개수가 0인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예를들어, /home1/nbpmon/noms/nsight/bin/noms_nsight -start /usr/sbin/snmp -start 2개의 프로세스가 있고 "start"로 매칭 문자열 설정시 프로세스 개수는 2개로 인식되고, 위의 프로세스가 모두 다운된 경우 개수를 0으로 인지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단일 프로세스의 감시를 위해서는 프로세스 전체 이름으로 설정이 필요 (ps -ef로 추출되는 프로세스 이름에 전부 문자열 매칭) |
프로세스 | cpu(%) | 프로세스의 cpu 사용량(%)이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사용량 ▲▲% 2.이상 3.지속시간 OO분 4.프로세스 매칭 문자열 (예시)snmp | snmp라는 문자열을 갖는 프로세스들이 점유한 cpu 사용량(%)이 ▲▲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예를들어 /home1/nbpmon/noms/nsight/bin/noms_nsight -start /usr/sbin/snmp –start 2개의 프로세스가 있고 "start"로 매칭 문자열 설정시 프로세스 개수는 2개로 인식되고, 위의 프로세스가 점유중인 cpu 사용량(%)을 모두 합산한 값이 ▲▲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단일 프로세스의 감시를 위해서는 프로세스 전체 이름으로 설정이 필요 (ps -ef로 추출되는 프로세스 이름에 전부 문자열 매칭) |
프로세스 | mem(%) | 프로세스의 mem 사용량(%)이 설정 임계치 이상으로 미리 지정한 시간만큼 지속되는 경우 발생한다. | 1.사용량 ▲▲% 2.이상 3.지속시간 OO분 4.프로세스 매칭 문자열 (예시)snmp | snmp라는 문자열을 갖는 프로세스들이 점유한 mem 사용량(%)이 ▲▲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예를들어, /home1/nbpmon/noms/nsight/bin/noms_nsight -start /usr/sbin/snmp -start 2개의 프로세스가 있고 "start"로 매칭 문자열 설정시 프로세스 개수는 2개로 인식되고, 위의 프로세스가 점유중인 mem 사용량(%)을 모두 합산한 값이 ▲▲ 이상으로 OO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단일 프로세스의 감시를 위해서는 프로세스 전체 이름으로 설정이 필요 (ps -ef로 추출되는 프로세스 이름에 전부 문자열 매칭) |
Ping Fail | Ping Fail | 모니터링이 연속적으로 3분 이상 동작하지 않고, Collector 서버가 해당 서버로 Ping을 송신했을 때 3초 간격으로 연속 10번 이상 실패할 경우 발생한다. | 모니터링이 연속적으로 3분 이상 동작하지 않고, Collector 서버가 해당 서버로 Ping을 송신했을 때 3초 간격으로 연속 10 번 이상 실패할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 Collector 서버가 해당 서버로 Ping 패킷을 송수신 가능해야함 |
감시 설정 Template, 통보 설정 Template
감시 설정, 통보 설정 등록 시 하나씩 등록하는 불편함 없이 등록된 Template을 불러와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감시 설정 Template 등록하기
감시 설정 Template을 등록합니다.
① 좌측 메뉴에서 Obervation Template을 클릭합니다.
② [+ Create Template] 을 클릭합니다.
① Template Name, Description 입력, 감시 설정 내용을 작성해 주세요
- 감시 설정 Template 선택 후 [+ 적용] 버튼을 클릭하면 기존 Template을 불러와 추가하여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 가능합니다.
② 작성 완료 후 [저장] 을 클릭하면 등록 작업이 완료됩니다.
① 저장된 결과를 목록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통보 설정 Template 등록하기
통보 설정 Template을 등록합니다.
① 좌측 메뉴에서 Notification Template을 클릭합니다.
② [+ Create Template] 버튼을 클릭합니다.
① Template Name, Description 입력, 통보 설정 내용을 작성해 주세요
- 통보 설정 Template 선택 후 [+ 적용] 을 클릭하면 기존 Template을 불러와 추가하여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 가능합니다.
② 작성 완료 후 [저장] 을 클릭하면 등록 작업이 완료됩니다.
① 저장된 결과를 목록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My Group, My Chart
My Group
그룹을 생성하고 그룹에 속한 서버들의 성능 지표를 비교해서 볼 수 있습니다.
같은 역할을 하는 서버들을 그룹으로 묶어 모니터링 가능하며 이상 동작을 하는 서버를 쉽게 확인 가능합니다.
My Group 생성, 사용하기
① 좌측 메뉴에서 Dashboard > My Group을 클릭합니다.
② 그룹 생성을 위해 먼저 디렉토리가 생성되어야 합니다. 디렉토리명을 입력하고 [+ 추가] 를 클릭해주세요
① 생성된 디렉토리 하위에 그룹을 추가합니다. [+ 그룹 추가] 를 클릭합니다.
① Group Name과 생성될 그룹이 속할 디렉토리를 선택합니다.
② 해당 그룹에 속할 서버를 검색, 선택한 후 [+ Add] 를 클릭합니다.
③ 서버 정보를 최종 확인 후 [Save] 를 클릭합니다.
① 생성된 그룹을 클릭하면 오른쪽 프레임에서 그룹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오른쪽 상단 테이블은 그룹에 속한 서버들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③ 그룹 성능 Chart입니다.
- Item별로 서버들의 성능 정보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 그룹에 속한 서버의 성능 Item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 Chart는 Search Dashboard Chart의 동일 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My Chart
자주 모니터링 해야 하는 항목을 My Chart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성능 Item, Server 들을 선택해서 하나의 Chart로 등록 가능하며 Integrated Dashboard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My Chart 생성하기
① 좌측 메뉴에서 Dashboard > My Chart를 클릭합니다.
② Chart 생성을 위해 먼저 디렉토리가 생성되어야 합니다. 디렉토리명을 입력하고 [+ 추가] 를 클릭합니다.
① 생성된 디렉토리 하위에 Chart를 추가합니다. [+ 차트 추가] 를 클릭합니다.
① Chart Name과 생성될 Chart가 속할 디렉토리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Chart에 그려질 Item과 Data Range를 선택합니다.
② Chart에 표현될 서버들을 검색, 추가합니다.
③ [Preview] 를 클릭하면 Chart 미리 보기가 가능합니다.
④ 최종 확인 후 [Save] 를 클릭합니다.
① 생성된 Chart명을 클릭하면 오른쪽 프레임에서 Chart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미리보기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드롭다운 메뉴에서 image 다운로드 기능도 제공됩니다.
Integrated Dashboard에 My Chart 등록하기
만들어진 My Chart를 Home 화면에서 쉽게 확인하고 싶을 때 Home에 추가 가능합니다.
① Home 화면 제일 하단에서 My Chart 영역을 확인 가능합니다. Chart명으로 검색, 선택하여 [+ 추가] 를 클릭합니다.
② 만약 My Chart가 없다면 [+ 새 차트 생성] 를 클릭하여 My Chart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① Home 화면 하단에서 My Chart를 위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관 정보 바로가기
아래 가이드에서 연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