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PDF
LAMP 사용 가이드
-
인쇄
-
PDF
Classi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사용하기 전에
Q. LAMP 상품은 무엇인가요?
- LAMP 상품은 "Linux + Apache + MySQL + PHP" 설치 및 프로세스를 원클릭으로 시작할 수 있는 설치형 서비스 상품입니다.
- LAMP 상품은 리눅스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면서, Apache Web Server/MySQL(MariaDB/PHP)를 활용한 Web Application Stack 서비스입니다.
- LAMP 상품은 안정성이 우수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Compute 인프라 서비스에 자동으로 구성되며, 몇 단계의 설정을 통해 즉시 서비스에 투입할 수 있습니다.
Q. LAMP 상품을 사용하면 어떤 이점이 있나요?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인프라 서비스를 활용하여 안정성 있는 Web 서비스 개발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 서버 이미지와 스펙을 선택하여 LAMP Stack 서비스를 자동으로 설치하고,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Q. LAMP 서버는 어떻게 생성하나요?
- 콘솔 > Compute > Server 메뉴에서 LAMP 서버 이미지를 선택하여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원하는 사양의 서버를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 스토리지를 추가합니다.
- 월 요금제와 시간 요금제로 청구되며, 서버를 생성한 후 접속 환경을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 LAMP 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공인 IP 주소를 신청하고 ACG 설정에서
80
포트를 추가해야 합니다.(Port는 변경 가능합니다.) - 콘솔에 접속한 후 다음의 단계를 통해 쉽게 서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Q. LAMP 상품에 설치되는 오픈소스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2018년 10월 출시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제공됩니다.
- Apache
- MySQL DB
- PHP
Q. LAMP Web 서비스에 접속할 수 없습니다.
- LAMP 웹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인 IP 주소를 신청하여 서버에 할당해야 하며, ACG에
80
포트가 추가되어 있어야 합니다. - 공인 IP 주소와 ACG를 확인한 후에도 접속되지 않는 경우 LAMP 프로세스가 정지된 상태일 수 있으니, 터미널에서 재시작 명령어를 실행하여 프로세스를 다시 시작하십시오.
Q. LAMP 상품은 어느 디렉터리에 설치되나요?
/root/lamp
디렉터리에 다운로드됩니다.- LAMP 상품의 Web Service Root Directory는
/ncp/data/www
입니다. -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 경로를 백업해 두는 것을 권장합니다.
Q. LAMP 웹 서비스를 위해 주의할 사항이 있나요?
- LAMP Web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HTTP
프로토콜 기반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LAMP Web 서비스를 보다 안정적이고 보안이 강화된 방법으로 사용을 원하실 경우
HTTPS
프로토콜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SSL 인증서 및 Web Service Domain 생성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LAMP 상품 소개
LAMP 상품은 "Linux + Apache + MySQL + PHP" 설치 및 프로세스를 원클릭으로 시작할 수 있는 설치형 서비스 상품으로, 리눅스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면서 Apache Web Server/MySQL(MariaDB/PHP)를 활용한 Web Application Stack 서비스입니다.
안정성이 우수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Compute 인프라 서비스에 자동으로 구성되며, 몇 단계의 설정을 통해 즉시 서비스에 투입할 수 있습니다.
LAMP 서버 생성
LAMP 서버 생성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의 서버 생성 및 서비스 접속과정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Application 설치형 상품과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Step 1. 콘솔 접속
콘솔에 접속해서 Compute > Server 메뉴를 선택합니다.
② 서버를 생성하려면 [서버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Step 2. 서버 이미지 선택
LAMP 서버 이미지를 선택해서 서버를 생성합니다.
① 이미지타입 Application, Application 이미지타입 LAMP를 선택합니다.
② 팝업 창의 안내(LAMP 사용을 위한 공인 IP 주소, ACG 신청, 초기 비밀번호 확인)를 확인합니다.
③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창이 닫히면서 서버 정보 입력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Step 3. 서버 설정
스토리지 종류, 서버 타입, 요금제, Zone을 선택하고, 서버 이름을 입력합니다.
① Zone을 선택합니다.
- LAMP 서비스는 모든 Region에서 지원되고 있습니다.
② 부팅 스토리지로 사용할 스토리지 종류를 선택합니다.
③ 원하는 서버 타입을 선택합니다.
- 일부 서버 스펙은 부팅 디스크 타입에 따라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사용 용량에 따라 서버 타입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④ 요금제는 월요금제 또는 시간 요금제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⑤ 서버 이름을 입력합니다.
- 고객이 서버를 구별하기 위한 명칭으로,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⑥ 이외 필요한 정보를 입력합니다.
⑦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Step 4. 인증키 설정
보유하고 있는 인증키가 있는 경우 보유하고 있는 인증키 이용을 선택하고, 없는 경우 아래의 절차대로 새로운 인증키를 생성합니다.
① 새로운 인증키 생성을 선택합니다.
② 인증키 이름을 입력합니다.
③ [인증키 생성 및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로컬 PC에 인증키 파일을 저장합니다.
- 새로운 인증키를 발급받습니다.
- 저장 후 인증키는 고객의 PC 안전한 위치에 보관해 주십시오.
- 인증키는 최초의 관리자 비밀번호를 가져올 때 이용됩니다.
④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Step 5. ACG 설정
보유하고 있는 ACG를 이용하거나 신규 ACG를 생성하여 방화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보유하고 있는 ACG 이용
보유하고 있는 ACG를 이용하여 방화벽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ACG는 필수로 선택해야 하며, 기본으로 제공하는 ‘ncloud-default-acg’를 포함하여 보유하고 있는 ACG 중에서 하나를 선택합니다.
- 보유하고 있는 ACG는 최대 5개까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필수로 ACG를 선택해야 [다음] 버튼이 활성화되어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② 보유하고 있는 ACG 외에 신규 ACG를 생성하여 설정하고 싶다면 신규 ACG 생성을 선택합니다.
③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새로 ACG 생성
새로 ACG를 생성하여 방화벽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신규 ACG 생성에서 [ACG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② ACG 이름을 입력합니다.
③ ACG 설정에서 프로토콜, 접근 소스, 허용 포트를 입력하고 생성합니다.
- 프로토콜: TCP, UDP, ICMP에서 선택
- 접근 소스: IP 주소 또는 ACG명 입력
- 허용 포트: 단일 포트 또는 범위 지정
- 터미널 접속을 위해서는 접속하려는 서버의 ACG에 SSH 'TCP/22'에 대한 규칙이 설정되어 있어야 하고,
규칙을 추가하려면 프로토콜, 접근 소스, 허용 포트를 기재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④ 서비스 포트가 모두 추가된 경우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Step 6. 최종 확인
설정한 내용을 최종 확인합니다.
① 서버 이미지, 서버, 인증키, ACG가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② 최종 확인 후에는 [서버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 서버가 생성되기까지는 수 분에서 수십 분이 소요됩니다.
서버 목록에서 확인
생성한 서버를 목록에서 확인합니다.
① 생성한 서버가 목록에 표시됩니다.
② 서버가 생성되고 LAMP 패키지가 설치 완료되어 서버 상태가 운영중이 될 때까지 대기합니다.
접속 환경 설정
공인 IP 주소 사용 신청
LAMP 상품을 사용하려면 반드시 공인 IP 주소를 이용해서 접속해야 하며, 공인 IP 주소 사용에 대한 요금이 별도로 부과됩니다.
① Server > PUBLIC IP 메뉴를 선택합니다. 공인 IP 주소를 할당받으려면 [공인 IP 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② 적용 서버 선택에서 공인 IP 주소를 할당할 LAMP 서버를 선택합니다.
③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적용 서버 이름을 확인하고 다시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포트 포워딩 설정
터미널 프로그램(PuTTY 등)으로 서버에 접속하려면 포트 포워딩을 설정해야 합니다.
① Server > Server 메뉴를 선택합니다.
② 서버에 접속하려면 서버를 선택한 후 상단의 포트 포워딩 설정을 클릭합니다.
③ 포트 포워딩 설정 화면에서 외부 포트 번호를 설정합니다. 외부 포트 번호의 입력 범위는 1024~65,534로, 서버 접속을 위한 기능 외에 서비스 용도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내부 포트 번호는 22로 정해져 있습니다.)
④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 내역이 하단에 추가되며 [수정],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 내역을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⑤ [적용]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한 외부 포트로 터미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SH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ACG 생성
ACG에 터미널 접속 SSH('TCP/22') 및 LAMP 서비스('TCP/UDP' 설정) 규칙을 추가합니다.
서버 생성 시 규칙을 이미 추가한 경우는 이 단계의 ACG 설정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습니다.
① 왼쪽의 메뉴에서 Server > ACG 메뉴를 선택합니다.
② 서버 생성 시 선택한 ACG를 선택하고 상단의 [ACG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③ ACG 이름을 입력합니다.
④ 설정이 완료되면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ACG 설정
① 생성한 ACG를 선택합니다.
② 상단 [ACG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③ ACG 규칙 설정에서 프로토콜, 접근 소스, 허용 포트를 입력하고 생성합니다.
-
프로토콜: TCP, UDP, ICMP에서 선택
-
접근 소스: IP 주소 또는 ACG명 입력
-
허용 포트: 단일 포트 또는 범위 지정
-
터미널 접속을 위해서는 접속하려는 서버의 ACG에 SSH 'TCP/22'에 대한 규칙이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
규칙을 추가하려면 프로토콜, 접근 소스, 허용 포트를 기재하고 추가를 클릭합니다.
④ 설정이 완료되면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서버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터미널 프로그램(PuTTY 등)으로 서버에 접속하려면 관리자 비밀번호를 알아야 합니다.
① Server > Server 메뉴를 선택합니다.
② 해당 서버를 선택하고,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에서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을 선택합니다.
③ 마우스로 파일을 끌고 오거나 여기를 클릭하세요 버튼을 클릭해 서버 생성 시 개인 PC에 저장한 인증키 파일(.pem)을 첨부합니다.
④ 첨부 후 [비밀번호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터미널 프로그램으로 최초 서버 접속 시 사용할 비밀번호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서버에 접속 후 관리자가 기억할 수 있는 비밀번호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터미널 접속
터미널 프로그램(PuTTY 등)으로 서버에 접속해서 LAMP 프로세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 프로그램으로 서버 접속
① 터미널 프로그램(PuTTY 등)을 실행합니다.
② 서버 리스트 또는 내용 보기에서 확인한 '서버 접속용 공인 IP'와 '외부 포트'의 값을 입력하고 Open 버튼을 클릭하면 서버에 접속됩니다.
- 서버 접속용 공인 IP 확인: 콘솔의 Server > Server 메뉴에서 서버 선택 후 상세정보에서 포트 포워딩 정보의 서버 접속용 공인 IP 값 확인
- 외부 포트 번호 확인: 콘솔의 Server > Server 메뉴에서 서버 선택 후 상세정보에서 포트 포워딩 정보의 외부 포트 값 확인
③ 사용자 정보 및 암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합니다.
- login as: root
- password: 위에서 확인한 관리자 비밀번호
④ 로그인 후에는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기억할 수 있는 비밀번호로 변경할 것을 권장합니다.
passwd root
명령어를 입력한 후 새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LAMP 서비스 빠르게 시작하기/중지하기/확인하기
LAMP 서버 이미지 생성 시 자동으로 LAMP Components 서비스가 설치 및 시작됩니다.
아래와 같이 수동으로 LAMP 서비스 컴포넌트의 시작 및 중지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
LAMP
서비스 전체 시작하기 및 중지하기shell> LAMP_HOME=/root/lamp shell> $LAMP_HOME/lamp_restart.sh
-
LAMP
서비스 설치 상태 확인하기shell> LAMP_HOME=/root/lamp shell> $LAMP_HOME/lamp_info.sh
-
httpd/apache2 service
중지하기 및 시작하기shell> # httpd service stop for CentOS 6.6 shell> service httpd stop shell> # httpd service stop for CentOS 7.3 shell> systemctl stop httpd shell> # apache2 service stop for Ubuntu 16.04 shell> systemctl stop apache2 shell> # httpd service start for CentOS 6.6 shell> service httpd start shell> # httpd service start for CentOS 7.3 shell> systemctl start httpd shell> # apache2 service start for Ubuntu 16.04 shell> systemctl start apache2
-
httpd/apache2 service
프로세스 확인하기shell> # Process Check for CentOS 7.3/6.6 shell> ps -ef | grep httpd shell> root 8116 1 0 16:22 ? 00:00:00 /usr/sbin/httpd -DFOREGROUND shell> apache 8117 8116 0 16:22 ? 00:00:00 /usr/sbin/httpd -DFOREGROUND shell> apache 8118 8116 0 16:22 ? 00:00:00 /usr/sbin/httpd -DFOREGROUND shell> apache 8119 8116 0 16:22 ? 00:00:00 /usr/sbin/httpd -DFOREGROUND shell> apache 8120 8116 0 16:22 ? 00:00:00 /usr/sbin/httpd -DFOREGROUND shell> apache 8121 8116 0 16:22 ? 00:00:00 /usr/sbin/httpd -DFOREGROUND shell> # Process Check for Ubuntu 16.04 shell> ps -ef | grep apache2 shell> root 1527 1 0 14:05 ? 00:00:00 /usr/sbin/apache2 -k start shell> www-data 1600 1527 0 14:05 ? 00:00:00 /usr/sbin/apache2 -k start shell> www-data 1601 1527 0 14:05 ? 00:00:00 /usr/sbin/apache2 -k start shell> www-data 1602 1527 0 14:05 ? 00:00:00 /usr/sbin/apache2 -k start shell> www-data 1603 1527 0 14:05 ? 00:00:00 /usr/sbin/apache2 -k start shell> www-data 1604 1527 0 14:05 ? 00:00:00 /usr/sbin/apache2 -k start shell> www-data 1605 1527 0 14:05 ? 00:00:00 /usr/sbin/apache2 -k start shell> www-data 1606 1527 0 14:05 ? 00:00:00 /usr/sbin/apache2 -k start shell> www-data 1607 1527 0 14:05 ? 00:00:00 /usr/sbin/apache2 -k start
-
mysqld/mysql service
중지하기 및 시작하기shell> # mysqld service stop for CentOS 6.6 shell> service mysqld stop shell> # mysqld service stop for CentOS 7.3 shell> systemctl stop mysqld shell> # mysql service stop for Ubuntu 16.04 shell> systemctl stop mysql shell> # mysqld service start for CentOS 6.6 shell> service mysqld start shell> # mysqld service start for CentOS 7.3 shell> systemctl start mysqld shell> # mysql service start for Ubuntu 16.04 shell> systemctl start mysql
-
mysqld/mysql service
프로세스 확인하기shell> # mysqld service stop for CentOS 6.6/7.4, Ubuntu 16.04 shell> ps -ef | grep mysqld shell> mysql 8152 1 0 16:22 ? 00:00:00 /bin/sh /usr/bin/mysqld_safe --basedir=/usr shell> mysql 8406 8152 0 16:22 ? 00:00:00 /usr/sbin/mysqld --basedir=/usr --datadir=/var/lib/mysql --plugin-dir=/usr/lib64/mysql/plugin --log-error=wp-1.err --pid-file=wp-1.pid --socket=/var/lib/mysql/mysql.sock --port=3306
LAMP Web 접속하기
LAMP Components 설치 및 시작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접속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 LAMP Web 접속:
http://{Your Public IP}
- 아래와 같이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LAMP 상품의 Index Page가 실행된다면 LAMP 상품의 설치가 완료된 것입니다.
LAMP PHP Information 확인하기
LAMP Components 중 PHP 및 PHP 모듈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아래와 같이 실행하여 확인이 가능합니다.
① /ncp/data/www/phpinfo.php
파일을 생성합니다.
명령어 실행 또는 화면에 실행 시 권한 오류가 발생한다면, Linux OS 권한 변경을 실행합니다.
shell> echo "<?php phpinfo(); ?>" > /ncp/data/www/phpinfo.php
② 웹 브라우저를 통해 아래와 같이 phpinfo.php
파일의 URL을 입력합니다.
http://{Your Public IP}/phpinfo.php
③ 아래와 같이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LAMP 상품의 PHP Information Page가 실행되고, PHP 관련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④ PHP Information의 경우 시스템 및 Application의 주요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정보 확인 후 해당 파일의 삭제를 권고합니다.
shell> rm /ncp/data/www/phpinfo.php
LAMP 설치 디렉터리 확인하기
LAMP Components 설치 및 서비스 시작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디렉터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AMP Components Root:
/root/lamp
shell> # LAMP 컴포넌트 설치 디렉터리 정보 확인
shell> ls /root/lamp
shell> conf(D) lamp_info.sh lamp_restart.sh uninstall_lamp.sh
- WEB Documents Root:
/ncp/data/www
shell> # LAMP Web Root 디렉터리 정보 확인
shell> ls /ncp/data/www
shell> index.html ncp.jquery.js phpinfo.php phpmyadmin(D)
- LAMP Installation Log:
/var/log/lamp/lamp_install.log
shell> # LAMP Installation Log 확인
shell> cat /var/log/lamp/lamp_install.log
shell> [Info] Starting Installation NCP LAMP Product...
shell> [Info] Starting pre-configuration install products...
shell> [Info] Downloading NCP LAMP Configuration File...
shell> [Info] NCP LAMP Configuration file download completed.
shell> [Info] Initializing MySQL root password...
shell> [Info] Initialized MySQL root password...
shell> [Info] Removing already installed products...
...(이하 생략)
LAMP MySQL Database 사용 주의사항
LAMP Components 설치 시 MySQL Database의 초기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생성한 서버의 {Hostname}으로 설정됩니다.
LAMP 설치 후 MySQL Database의 root password 변경 후 서비스를 사용하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https://mariadb.com/kb/en/mysql_secure_installation
를 참고하면 쉽게 보안 설정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 MySQL Secure Installation 사용:
mysql_secure_installation
shell> mysql_secure_installation
shell> NOTE: RUNNING ALL PARTS OF THIS SCRIPT IS RECOMMENDED FOR ALL MySQL
shell> SERVERS IN PRODUCTION USE! PLEASE READ EACH STEP CAREFULLY!
shell>
shell> In order to log into MySQL to secure it, we will need the current
shell> password for the root user. If you have just installed MySQL, and
shell> you haven not set the root password yet, the password will be blank,
shell> so you should just press enter here.
(이하 생략 ...)
연관 정보 바로가기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LAMP 상품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웹페이지를 확인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