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러스터 생성 및 관리
- 인쇄
- PDF
클러스터 생성 및 관리
- 인쇄
- PDF
기사 요약
이 요약이 도움이 되었나요?
의견을 보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VP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클러스터 생성 및 관리에서는 클러스터를 생성, 관리, 삭제하는 방법과 생성한 클러스터의 목록에서 클러스터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클러스터 생성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 Services > Application Services > Ncloud Simple RabbitMQ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클러스터 생성하기]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클러스터 생성 화면이 나타나면 다음 단계를 차례대로 진행해 주십시오.
1. 서버 설정
RabbitMQ 서버를 설정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MQ 클러스터 이름: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기준으로, 3~20글자로 입력
- MQ 엔진 버전: RabbitMQ 버전 선택
- RabbitMQ 라이선스는 GoPivotal사에서 MPL 라이선스로 제공되는 배포판을 사용합니다.
- MQ 서버타입: RabbitMQ 서버가 설치될 서버의 타입 선택
- MQ 노드수: RabbitMQ 클러스터를 구성할 노드 수 선택
- 2개 또는 3개의 노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 VPC: RabbitMQ를 설치할 VPC 선택
- 을 클릭하여 VPC 드롭다운 목록 새로 고침
- [VPC 생성] 버튼: 클릭하여 새로운 VPC 생성
- Server Subnet: RabbitMQ를 설치할 서버 전용 서브넷 선택
- 을 클릭하여 서브넷 드롭다운 목록 새로 고침
- [Subnet 생성] 버튼: 클릭하여 새로운 서브넷 생성
- Load Balancer Subnet: 로드밸런서 전용 서브넷 선택
- 을 클릭하여 로드밸런서 서브넷 드롭다운 목록 새로 고침
- [Load Balancer Subnet 생성] 버튼: 클릭하여 새로운 로드밸런서 서브넷 생성
- Load Balancer Network: 로드밸런서 네트워크 선택
- Private IP로 설정한 경우 외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 ACG 설정: RabbitMQ 서버에 접근하기 위한 접속 정보로, 생성 완료 후 확인 가능
2. MQ 설정
RabbitMQ 및 Management UI에 접속하기 위한 기본 관리자 계정을 설정합니다.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Default User ID: 기본 관리자 ID를 4~16글자로 입력
- Default User Password: 기본 관리자 ID의 비밀번호를 4~16글자로 입력
- MQ 접속 포트: RabbitMQ에 접속하기 위한 포트
- 네트워크 파티션 대응 정책: 네트워크 파티션 발생 시 대응하기 위한 정책
- 1. 서버 설정에서 선택한 노드 수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참고노드 수에 따라 설정되는 네트워크 파티션 대응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노드 수 네트워크 파티션 대응 정책 설명 2 autoheal 네트워크 파티션 발생 시 자동으로 특정 노드를 대표 노드로 선택하고 타 노드를 재실행 3 pause-minority 네트워크 파티션 발생 시 다른 노드들이 중단되는 것을 확인한 후에 자동으로 소수의 노드들을 정지
3. 최종 확인
설정 사항을 확인한 후 [생성]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생성한 클러스터가 생성중 상태로 목록에 추가되며, 운영중으로 변경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러스터 목록 확인
클러스터 목록을 상세하게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
- 생성한 클러스터가 1개 이상인 경우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성하여 운영 중인 클러스터가 없는 경우 Ncloud Simple RabbitMQ 화면에서 목록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 클러스터의 상태가 운영중인 경우에만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 접속해 주십시오.
- Region 메뉴에서 이용 중인 리전을 선택해 주십시오.
-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 Services > Application Services > Ncloud Simple RabbitMQ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클러스터 목록에서 요약 정보를 확인하거나 클러스터를 클릭하여 상세 정보를 확인해 주십시오.
- MQ 클러스터 이름(Instance ID):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기준
- MQ 버전: 클러스터의 RabbitMQ 버전
- MQ 노드수: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노드 수
- 상태: 클러스터의 상태
- 생성중: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있는 상태
- 작업중: 클러스터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있는 상태
- 운영중: 클러스터가 사용 가능한 상태
- [상세보기] 버튼: 클릭하여 상태 정보 확인, 복사, 다운로드
- Management UI: 을 클릭하여 RabbitMQ를 관리할 수 있는 Management UI에 접속
- 생성 일시: 클러스터를 생성한 일시
- 수정 일시: 클러스터 정보를 가장 마지막으로 수정한 일시
- Endpoints: 을 클릭하여 RabbitMQ 클러스터에 접속하기 위한 주소와 포트 확인
- ACG: RabbitMQ 서버에 접근하기 위한 ACG
- 을 클릭하여
- Plugins: [Edit] 버튼을 클릭하여 플러그인 설정
- Monitoring: 을 클릭하여 RabbitMQ 노드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Grafana 페이지로 이동
- Subnet 이름: RabbitMQ가 설치된 서브넷 이름
- MQ 서버타입: RabbitMQ가 설치된 서버 타입
- VPC 이름: RabbitMQ가 설치된 VPC 이름
클러스터 관리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노드의 상태 및 로그를 확인하거나 문제가 발생한 노드를 재부팅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러그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노드 상태 확인
노드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 Services > Application Services > Ncloud Simple RabbitMQ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노드의 상태를 확인할 클러스터를 클릭해 주십시오.
- MQ 노드수의 을 클릭해 주십시오.
- Nodes 팝업 창에서 노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odes 팝업 창에서 노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드별 로그 확인
노드별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 Services > Application Services > Ncloud Simple RabbitMQ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노드별 로그를 확인할 클러스터를 클릭해 주십시오.
- MQ 노드수의 을 클릭해 주십시오.
- Nodes 팝업 창이 나타나면 로그를 확인할 노드의 [로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로그 팝업 창이 나타나며 라인 수를 설정하여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드 재부팅
문제가 발생한 노드를 재부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 Services > Application Services > Ncloud Simple RabbitMQ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노드를 재부팅할 클러스터를 클릭해 주십시오.
- MQ 노드수의 을 클릭해 주십시오.
- 재부팅할 노드의 [재시작]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재시작 팝업 창이 나타나면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노드를 재부팅하는 동안 작업중 상태로 표시되며, 재부팅을 완료한 후 운영중 상태로 변경됩니다.
플러그인 설정
플러그인을 활성화하여 확장된 기능을 사용하거나 활성화된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 Services > Application Services > Ncloud Simple RabbitMQ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플러그인을 설정할 클러스터를 클릭해 주십시오.
- Plugins의 [Edit]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Plugins 팝업 창이 나타나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플러그인의 토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을 클릭하여 플러그인에 대한 가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Ncloud Simple RabbitMQ에서 제공하는 플러그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rabbitmq_delayed_message_exchange: 메시지가 교환에 도달하는 시점과 대기열에 전달되는 시점 사이의 대기 시간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며, 메시지가 게시될 때마다 오프셋(밀리초) 지정 가능
- rabbitmq_stomp: STOMP를 사용하여 대기열 속성 제어 등 추가적인 기능 사용 가능
- rabbitmq_top: Management UI에 Erlang VM에 대한 UNIX 최상위 정보 추가 가능
- rabbitmq_web_stomp: WebSocket 연결을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STOMP를 사용 가능
- 플러그인 설정 팝업 창의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변경된 플러그인 설정이 반영되기까지 작업중 상태로 표시되며, 반영이 완료되면 운영중 상태로 변경됩니다.
클러스터 삭제
클러스터를 삭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 Services > Application Services > Ncloud Simple RabbitMQ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삭제할 클러스터를 클릭하여 선택한 후 [삭제]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RabbitMQ 클러스터 삭제 팝업 창이 나타나면 삭제할 클러스터의 이름을 입력해 주십시오.
- [예]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해당 클러스터가 삭제되어 목록에서 사라집니다.
이 문서가 도움이 되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