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문제 해결
- 인쇄
- PDF
Server 문제 해결
- 인쇄
- PDF
기사 요약
이 요약이 도움이 되었나요?
의견을 보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Classi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Server를 이용하면서 사용자가 만날 수 있는 문제 상황과 원인 및 해결 방법을 설명합니다.
서버 접속 실패
서버 접속을 실패할 때의 증상과 원인 및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증상 | 원인 | 해결 방법 | 참고 가이드 |
---|---|---|---|
서버에 접속할 수 없음 | 서버가 정지 상태임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서버 시작 후 재접속 | - |
접속하려는 컴퓨터의 네트워크가 ACG 설정에서 접근 허용되지 않음 | 접속하려는 컴퓨터의 네트워크 접근을 허용하는 규칙을 ACG에 추가 | ACG 참고 | |
접속하려는 컴퓨터의 네트워크 연결 불량 |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한 후 재접속 | - | |
IP 또는 외부 포트 입력 오류 | 콘솔의 서버 상세 정보에서 공인 IP 또는 포트 포워딩 정보를 확인하여 정확히 입력한 후 재접속 | Server 접속 참고 | |
비밀번호 입력 오류 | 서버 관리 참고 |
서버 생성 실패
서버 생성을 실패할 때 경고 문구별 원인 및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고 문구 | 원인 | 해결 방법 |
---|---|---|
서버 생성 한도를 초과하여 서버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 계정에 설정된 서버의 생성 한도 초과 | |
서버 생성 중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 내부 오류 |
|
서버에서 스토리지 해제 실패
서버에서 블록 스토리지 해제를 시도했으나 실패할 때 경고 문구와 원인 및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토리지를 해제하는 방법은 스토리지 사용을 참고해 주십시오.
경고 문구 | 원인 | 해결 방법 |
---|---|---|
스토리지가 서버에 마운트되어 있습니다. 스토리지를 마운트 해제한 후 다시 시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추가 스토리지의 해제(Detach)가 실패하여 스토리지가 해제실패 상태 | 1. 해당 스토리지의 상태 옆의 [복구]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중 상태로 복구 2. 스토리지의 상태가 사용중으로 바뀌면 콘솔에 접속하여 마운트 해제 후 서버 연결 해제를 재시도 |
Linux 서버에 연결된 스토리지의 경우, 마운트 정보(가비지) 값으로 인한 오류 | ||
서버에 연결되었던 스토리지의 I/O가 진행 중이어서 해제 불가 |
Server Status Check 알람 발생
Server Status Check는 Server 사용 중 오류가 발생했을 때 활성화되는 메시지입니다. Server Status Check 알람 발생 시 증상과 원인 및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버 운영 상황 | Server Status Check 문구 | 원인 | 해결 방법 |
---|---|---|---|
Server 운영중 | Guest Agent가 비활성화 되었습니다. 서버 상태 확인 바랍니다. 점검 방법은 설명서를 참고해주세요. 서버 강제 정지를 원할 경우 콘솔의 강제정지 버튼을 눌러주세요. | Server Hang 및 리소스 부족 | Server Status Check 참고 |
Xentools 버전 문제 | Xentools 재설치(Windows, Linux 참고) | ||
운영 중인 서버의 정지 또는 재시작 | 서버 리부팅 또는 정지가 정상 완료되지 않아 서버 상태 확인이 필요합니다. 서버 강제 정지를 원할 경우 콘솔의 강제 정지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점검 및 조치 방법은 설명서를 참고해주세요. | 서버 내부 오류로 서버 재시작 또는 서버 생성이 지연되거나 불가능할 수 있음 위 원인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고객 지원으로 문의 |
서버 상태 진단
서버 상태 진단을 원하는 경우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Ncloud Tool Kit(NTK)을 통해 서버 상태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은 Ncloud Tool Kit 점검(Linux/Windows)을 참고해 주십시오.
이 문서가 도움이 되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