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 Security Checker
-
인쇄
-
PDF
OS Security Checker
-
인쇄
-
PDF
Classic/VP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OS Security Checker 메뉴에서는 운영 체제(OS)의 보안 설정 점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점검 상세 결과를 진단 리포트를 통해 확인하거나 PDF 또는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적절한 보안 설정과 조치 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점검 결과를 확인하려면, 먼저 서버에서 보안 설정 점검을 실행해 주십시오. 점검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OS 및 WAS 점검을 참고해 주십시오.
OS Security Checker 화면
System Security Checker 이용을 위한 OS Security Checker 메뉴의 기본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역 | 설명 |
---|---|
① 메뉴명 | 현재 확인 중인 메뉴 이름, 조회 중인 검사 결과 수 |
② 기본 기능 | |
③ 검색 영역 | 점검 일시를 기준으로 필터링하거나 서버 이름으로 검색하여 점검 결과 조회 |
④ Excel | 버튼을 클릭하여 점검 결과를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
⑤ 점검 결과 목록 | 조회 중인 WAS 보안 설정 점검 결과 목록 |
점검 결과 확인
서버의 OS 보안 설정 점검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Services > Security > System Security Checker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OS Security Checker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 점검 결과를 확인해 주십시오.
- 점검 일시를 기준으로 필터링하거나 서버 이름을 입력하여 원하는 결과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 Region: 서버가 존재하는 리전
- server 이름: 점검한 서버 이름, 클릭하여 해당 점검의 상세 결과 및 조치 방법 확인(상세 결과 및 조치 방법 확인 참고)
- InstanceNo: 서버 고유 번호
- Check list: 점검 유형 표시
- Linux, Windows: Linux 또는 Windows 서버의 OS를 점검한 경우
- finance: 금융보안원 전자금융기반시설 기준으로 Linux 보안 설정을 점검한 경우
- 점검 일시: 점검 실행 일시
- OS version: 점검한 서버의 OS 버전
- 취약/전체 항목: 점검 결과가 Bad인 점검 항목 수/전체 점검 항목 수
- Critical, Major, Minor: 해당 위험도의 점검 항목 중 점검 결과가 Bad인 항목 수
- Report view: [리포트]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검사 결과 전체를 진단 리포트로 확인 및 PDF 파일로 다운로드
상세 결과 및 조치 방법 확인
OS 보안 설정 점검의 상세 결과와 점검 항목에 대한 설명, 조치 방법을 확인하고 진단 리포트를 다운로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Services > Security > System Security Checker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OS Security Checker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 상세 결과를 확인할 점검 서버의 이름을 클릭해 주십시오.
- 상세 결과 및 조치 팝업 창이 나타나면 점검 세부 항목과 결과를 확인해 주십시오.
- 각 점검 항목을 클릭하여 점검 항목에 대한 설명, 권고 설정 및 판단 기준, 조치 방법 확인
- 위험도와 점검결과를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클릭하여 점검 항목 필터링
- [리포트]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 중인 결과를 진단 리포트로 확인 및 PDF 파일로 다운로드
- [Excel]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 중인 결과를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
OS 보안 설정 점검 항목
서버의 운영 체제에 따른 OS 보안 설정 점검 항목을 확인해 주십시오.
참고
점검 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권장 설정, 조치 방법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상세 결과 및 조치 팝업 창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상세 결과 및 조치 방법 확인 참고)
Linux 점검 항목
Linux 보안 설정 점검 항목과 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Check ID | 점검 항목 | 점검 항목 설명 |
---|---|---|
U-01 | root 계정 원격 접속 제한 | root 계정의 원격 접속 차단 설정 여부를 점검하여 외부 비인가자의 root 계정 접근 시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지 점검 |
U-02 | 패스워드 복잡성 설정 | 시스템 정책에 사용자 계정(root 및 일반 계정 모두 해당) 비밀번호 복잡성 관련 설정이 되어 있는지 점검 |
U-03 | 계정 잠금 임계값 설정 | 시스템 정책에 사용자 로그인 실패 임계값이 설정되어 있는지 점검 |
U-04 | 패스워드 파일 보호 | 시스템의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된 /etc/passwd 파일에 사용자 계정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지 점검 |
U-05 | root 홈 패스 디렉터리 권한 및 패스 설정 | root 계정의 PATH 환경 변수에 "."(현재 디렉터리 지칭)가 포함되어 있는지 점검 |
U-06 | 파일 및 디렉터리 소유자 설정 | 소유자가 존재하지 않는 파일 및 디렉터리가 존재하는지 점검 |
U-07 | /etc/passwd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U-08 | /etc/shadow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U-09 | /etc/hosts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U-10 | /etc/(x)inetd.conf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U-11 | /etc/syslog.conf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U-12 | /etc/services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U-13 | SUID,SGID,Stick bit 설정 파일 점검 | 파일에 불필요한 SUID, SGID 속성 제거 |
U-14 | 사용자, 시스템 시작파일 및 환경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홈 디렉터리 내의 사용자 파일 및 사용자별 시스템 시작 파일 등과 같은 환경 변수 파일의 접근 권한 제한 |
U-15 | world writable 파일 점검 | 불필요한 world writable 파일 존재 여부 점검 |
U-16 | /dev에 존재하지 않는 device 파일 점검 | 실제 존재하지 않는 디바이스 파일 존재 여부 점검 |
U-17 | $HOME/.rhosts, hosts.equiv 사용 금지 | rlogin, rsh, rexec 등과 같은 r command 권한 제한 |
U-18 | 접속 IP 및 포트 제한 | 제한된 호스트만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외부 공격을 사전에 방지 |
U-19 | finger 서비스 비활성화 | 비인가자에게 사용자 정보가 조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Finger 서비스 비활성화 |
U-20 | Anonymous FTP 비활성화 | Anonymous FTP 접속을 차단하여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FTP 사용을 제한 |
U-21 | r 계열 서비스 비활성화 | rlogin, rsh, rexec 등과 같은 r command 비활성화 |
U-22 | cron 파일 소유자 및 권한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U-23 | Dos 공격에 취약한 서비스 비활성화 | 사용하지 않는 DoS 공격 등에 취약한 서비스 비활성화 |
U-24 | NFS 서비스 비활성화 | NFS 서비스 비활성화 |
U-25 | NFS 접근 통제 | NFS 사용 시 허가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 |
U-26 | automountd 제거 | 로컬 공격자가 automountd를 이용하여 RPC(Remote Procedure Call)를 보낼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서비스 중지 |
U-27 | RPC 서비스 확인 | 일부 RPC 서비스는 원격 실행 등의 취약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서비스 비활성화 |
U-28 | NIS , NIS+ 점검 | NIS 서비스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NIS+를 사용 |
U-29 | tftp, talk 서비스 비활성화 | tftp, talk, ntalk 서비스는 보안상 취약하므로 비활성화 |
U-30 | Sendmail 버전 점검 | 대부분의 버전에서 많은 취약점이 보고되므로 불필요할 경우 사용 중지 |
U-31 | 스팸 메일 릴레이 제한 | SMTP 서버의 릴레이 기능 제한 |
U-32 | 일반사용자의 Sendmail 실행 방지 | SMTP 서비스 제공 시 일반 사용자는 q 옵션을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 |
U-33 | DNS 보안 버전 패치 | BIND 사용 시 최신 버전 사용 |
U-34 | DNS Zone Transfer 설정 | Zone 정보를 Secondary Name Server로만 전송하도록 제한 |
U-35 | Apache 디렉토리 리스팅 제거 | 디렉터리 검색 기능 비활성화 |
U-36 | Apache 웹 프로세스 권한 제한 | Apache는 root 권한이 아닌 별도의 권한으로 실행 |
U-37 | Apache 상위 디렉토리 접근 금지 | AllowOverride 옵션에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 |
U-38 | Apache 불필요한 파일 제거 | Apache 설치 시 기본으로 생성되는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하였는지 점검 |
U-39 | Apache 링크 사용 금지 |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의 사용 제한 |
U-40 | Apache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제한 | 원칙적으로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금지하고, 불가피하게 필요시 용량 크기를 제한 |
U-41 | Apache 웹 서비스 영역의 분리 | DocumentRoot를 기본 설정(htdocs 디렉터리)이 아닌 별도의 경로로 변경 |
U-42 | 최신 보안패치 및 벤더 권고사항 적용 | 주기적인 보안 패치를 통해 시스템이 안전하게 관리되는지 확인 |
U-43 | 로그의 정기적 검토 및 보고 | 정기적인 로그 점검을 통해 안정적인 시스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 |
U-44 | root 이외의 UID가 '0' 금지 | root 계정 외에 UID 값이 0인 계정(root와 권한이 동일)이 존재하는지 점검 |
U-45 | root 계정 su 제한 | |
U-46 | 패스워드 최소 길이 설정 | 최소 비밀번호 길이를 8자 이상으로 설정 |
U-47 | 패스워드 최대 사용 기간 설정 |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도록 최대 사용 기간을 적절하게 제한 |
U-48 | 패스워드 최소 사용기간 설정 |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기 전까지 경과해야 하는 최소 날짜를 설정 |
U-49 | 불필요한 계정 제거 | |
U-50 | 관리자 그룹에 최소한의 계정 포함 | 시스템 관리자 그룹에 최소한의 계정만 존재하는지 점검 |
U-51 | 계정이 존재하지 않는 GID 금지 | 그룹 설정 파일에 불필요한 그룹(계정이 존재하지 않고 시스템 관리나 운용에 사용되지 않는 그룹, 계정이 존재하고 시스템 관리나 운용에 사용되지 않는 그룹 등)이 존재하는지 점검 |
U-52 | 동일한 UID 금지 | UID가 동일한 사용자 계정 존재 여부 점검 |
U-53 | 사용자 shell 점검 |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은 계정에 /bin/false 쉘을 부여해 로그인 제한 |
U-54 | Session Timeout 설정 | 일정 시간 동안 어떠한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으면 연결을 강제 종료하도록 Session Timeout 설정 |
U-55 | hosts.lpd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U-56 | NIS 서비스 비활성화 | 스니핑 등의 공격에 의한 정보 노출 위험이 높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 |
U-57 | UMASK 설정 관리 | UMASK 값이 적절한지 점검 |
U-58 | 홈디렉토리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사용자 홈 디렉터리의 소유자 이외의 일반 사용자들이 해당 홈 디렉터리를 수정할 수 없도록 제한 |
U-59 | 홈디렉토리로 지정한 디렉토리의 존재 관리 | 사용자 계정과 홈 디렉터리의 일치 여부를 점검 |
U-60 | 숨겨진 파일 및 디렉토리 검색 및 제거 | 숨김 파일 및 디렉터리 내 의심스러운 파일 존재 여부 점검 |
U-61 | ssh 원격접속 허용 | 원격 접속 시 사용자와 시스템과의 모든 통신을 암호화하는 SSH(Secure Shell) 서비스 사용 |
U-62 | ftp 서비스 확인 | FTP 서비스 활성화 여부 점검 |
U-63 | ftp 계정 shell 제한 | FTP 서비스 설치 시 기본으로 생성되는 ftp 계정에 /bin/false 쉘을 부여하여 해당 계정으로의 시스템 접근을 차단 |
U-64 | Ftpusers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U-65 | Ftpusers 파일 설정 | |
U-66 | at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U-67 | SNMP 서비스 구동 점검 | 불필요한 SNMP 서비스 사용 중지 |
U-68 | SNMP 서비스 커뮤니티스트링의 복잡성 설정 | 커뮤니티 스트링을 유추할 수 없는 값으로 변경 |
U-69 | 로그온 시 경고 메시지 제공 | 서버 및 서비스에 로그온 시 불필요한 정보 차단 설정 및 불법적인 사용에 대한 경고 메시지 출력 |
U-70 | NFS설정파일접근권한 | NFS 접근 제어 설정 파일을 일반 사용자들이 수정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는지 점검 |
U-71 | expn, vrfy 명령어 제한 | 불가피하게 SMTP를 사용하는 경우, Sendmail Abuse를 방지하기 위해 Sendmail의 기본 서비스인 VRFY, EXPN을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 |
U-72 | Apache 웹서비스 정보 숨김 | 웹 페이지의 오류 발생 시 지나치게 자세한 메시지가 노출되지 않도록 설정 |
U-73 | 정책에 따른 시스템 로깅 설정 | 내부 정책에 따른 시스템 로깅 설정 적용 여부 점검 |
Linux 점검 항목(금융보안원 전자금융기반시설 기준)
금융보안원 전자금융기반시설 기준의 Linux 보안 설정 점검 항목과 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Check ID | 점검항목 | 점검 항목 설명 |
---|---|---|
SRV-001 | SNMP 서비스 커뮤니티스트링의 복잡성 설정 | 커뮤니티 스트링을 유추할 수 없는 값으로 변경 |
SRV-004 | 불필요한 SMTP 서비스 실행 여부 | 불필요한 SMTP 서비스가 가동되는지 점검 |
SRV-005 | expn, vrfy 명령어 제한 | 불가피하게 SMTP를 사용하는 경우, Sendmail Abuse를 방지하기 위해 Sendmail의 기본 서비스인 VRFY, EXPN을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 |
SRV-006 | Sendmail Log Level 미설정 | 서비스 가용성 확보 및 지속적인 보안 취약점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Sendmail loglevel 설정의 적절성 점검 |
SRV-007 | Sendmail 버전 점검 | Sendmail 서비스가 불필요할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 사용이 필요하다면 최신 버전을 사용 |
SRV-008 | Sendmail 서비스 거부 방지 기능 설정 점검 | 네트워크 회선 용량 및 서버 처리 용량 초과로 인한 메일 서비스 거부 및 시스템 다운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 설정의 적정성 점검 |
SRV-009 | 스팸 메일 릴레이 제한 | SMTP 서버의 릴레이 기능 제한 |
SRV-010 | 일반사용자의 Sendmail 실행 방지 | SMTP 서비스 제공 시 일반 사용자는 q 옵션을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 |
SRV-011 | ftpusers 파일 내 시스템 계정 존재 여부 | ftpusers 파일 안에 적절한 시스템 계정을 설정 |
SRV-012 | .netrc 파일 내 호스트 정보 노출 | .netrc 파일은 FTP 접근 IP와 비밀번호를 평문으로 보관하여 보안에 취약하므로 적절한 권한 설정이 되어 있는지 점검 |
SRV-013 | Anonymous FTP 비활성화 | Anonymous FTP 접속을 차단하여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FTP 사용을 제한 |
SRV-014 | NFS 접근 통제 | NFS 사용 시 허가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 |
SRV-015 | NFS 서비스 비활성화 | NFS 서비스 비활성화 |
SRV-016 | RPC 서비스 확인 | 일부 RPC 서비스는 원격 실행 등의 취약점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 |
SRV-017 | automountd 제거 | 로컬 공격자가 automountd를 이용하여 RPC(Remote Procedure Call)를 보낼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서비스 중지 |
SRV-019 | tftp, talk 서비스 비활성화 | tftp, talk, ntalk 서비스는 보안상 취약하므로 비활성화 |
SRV-025 | $HOME/.rhosts, hosts.equiv 사용 금지 | rlogin, rsh, rexec 등과 같은 r command 권한 제한 |
SRV-026 | root 계정 원격 접속 제한 | root 계정의 원격 접속 차단 설정 여부를 점검하여 외부 비인가자의 root 계정 접근 시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지 점검 |
SRV-027 | 접속 IP 및 포트 제한 | 제한된 호스트만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외부 공격을 사전에 방지 |
SRV-030 | finger 서비스 비활성화 | 비인가자에게 사용자 정보가 조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Finger 서비스 비활성화 |
SRV-035 | r 계열 서비스 비활성화 | rlogin, rsh, rexec 등과 같은 r command 비활성화 |
SRV-036 | Dos 공격에 취약한 서비스 비활성화 | 사용하지 않는 DoS 공격 등에 취약한 서비스 비활성화 |
SRV-039 | 불필요한 Tmax WebtoB 서비스 구동 여부 | 불필요한 Tmax WebtoB 서비스 구동 여부 점검 |
SRV-040 | Apache 디렉토리 리스팅 제거 | 디렉터리 검색 기능 비활성화 |
SRV-042 | Apache 상위 디렉토리 접근 금지 | AllowOverride 옵션에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 |
SRV-043 | Apache 불필요한 파일 제거 | Apache 설치 시 기본으로 생성되는 불필요한 파일을 삭제하였는지 점검 |
SRV-044 | Apache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제한 | 원칙적으로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금지하고, 불가피하게 필요시 용량 크기를 제한 |
SRV-045 | Apache 웹 프로세스 권한 제한 | Apache는 root 권한이 아닌 별도의 권한으로 실행 |
SRV-046 | Apache 웹 서비스 영역의 분리 | DocumentRoot를 기본 설정(htdocs 디렉터리)이 아닌 별도의 경로로 변경 |
SRV-047 | Apache 링크 사용 금지 |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의 사용 제한 |
SRV-060 | Tomcat 기본 계정 사용 여부 | Tomcat이 설치될 때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계정에 대하여 적절한 보안 설정이 되었는지 점검 |
SRV-061 | DNS Inverse Query 설정 오류 | Inverse Query 취약점 대응을 위한 적절한 보안 설정을 하였는지 점검 |
SRV-062 | BIND 서버 버전 노출 여부 | BIND 서버의 버전 정보가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제한 |
SRV-063 | DNS Recursive Query 설정 미흡 | 공격자가 Spoofed IP(Victim) 주소로 다량의 DNS 요청을 보내는 공격 위협에 대응 가능한 보안 설정 |
SRV-064 | DNS 보안 버전 패치 | BIND 사용 시 최신 버전 사용 |
SRV-065 | NIS , NIS+ 점검 | NIS 서비스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NIS+를 사용 |
SRV-066 | DNS Zone Transfer 설정 | Zone 정보를 Secondary Name Server로만 전송하도록 제한 |
SRV-068 |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 미설정 | 각 계정에 적절한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는지 점검 |
SRV-070 | 패스워드 파일 보호 |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어 저장되는지 점검 |
SRV-073 | 관리자 그룹에 최소한의 계정 포함 | 시스템 관리자 그룹에 최소한(root 계정과 시스템 관리에 허용된 계정)의 계정만 존재하는지 점검 |
SRV-074 | 패스워드 최대 사용 기간 설정 |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도록 최대 사용 기간을 적절하게 제한 |
SRV-076 | 패스워드 복잡성 설정 | 시스템 정책에 사용자 계정(root 및 일반 계정 모두 해당) 비밀번호 복잡성 관련 설정이 되어 있는지 점검 |
SRV-081 | Crontab 설정파일 권한 설정 오류 | Crontab의 작업 설정 파일에 적절할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지 점검 |
SRV-082 | 시스템 디렉토리 권한설정 미비 | 시스템 주요 디렉터리에 대한 권한의 적절성 여부 점검 |
SRV-083 | 시스템 스타트업 스크립트 권한 설정 오류 | 시스템 스타트업 스크립트의 소유권 및 권한 설정의 적절성 여부 점검 |
SRV-084 | /etc/passwd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SRV-085 | /etc/shadow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SRV-086 | /etc/hosts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SRV-087 | C 컴파일러 존재 및 권한 설정 오류 | 시스템에 C 컴파일러 존재 여부 및 이용의 적절성 여부를 점검 |
SRV-088 | /etc/(x)inetd.conf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SRV-089 | /etc/syslog.conf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SRV-091 | SUID,SGID,Stick bit 설정 파일 점검 | 파일에 불필요한 SUID, SGID 속성 제거 |
SRV-092 | 홈디렉토리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사용자 홈 디렉터리의 소유자 이외의 일반 사용자들이 해당 홈 디렉터리를 수정할 수 없도록 제한 |
SRV-093 | world writable 파일 점검 | 불필요한 world writable 파일 존재 여부 점검 |
SRV-094 | Crontab 참조파일 권한 설정 오류 | Crontab과 관련된 파일의 보안 설정이 적절한지 점검 |
SRV-095 | 파일 및 디렉터리 소유자 설정 | 소유자가 존재하지 않는 파일 및 디렉터리가 존재하는지 점검 |
SRV-096 | 사용자, 시스템 시작파일 및 환경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홈 디렉터리 내의 사용자 파일 및 사용자별 시스템 시작 파일 등과 같은 환경 변수 파일의 접근 권한 제한 |
SRV-099 | /etc/services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SRV-100 | xterm 실행 파일 권한 설정 | xfs 관련 파일에 대한 권한 설정 |
SRV-106 | hosts.lpd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SRV-107 | at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SRV-108 | 과도한 시스템 로그파일 권한 설정 | 로그파일 권한 설정의 적절성 점검 |
SRV-115 | 로그의 정기적 검토 및 보고 | 정기적인 로그 점검을 통해 안정적인 시스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 |
SRV-118 | 최신 보안패치 및 벤더 권고사항 적용 | 주기적인 보안 패치를 통해 시스템이 안전하게 관리되는지 확인 |
SRV-121 | root 홈 패스 디렉터리 권한 및 패스 설정 | root 계정의 PATH 환경 변수에 "."(현재 디렉터리 지칭)가 포함되어 있는지 점검 |
SRV-122 | UMASK 설정 관리 | UMASK 값이 적절한지 점검 |
SRV-127 | 계정 잠금 임계값 설정 | 시스템 정책에 사용자 로그인 실패 임계값이 설정되어 있는지 점검 |
SRV-130 | 디폴트 UMASK 설정 오류 | UMASK 값이 적절한지 점검 |
SRV-131 | root 계정 su 제한 | |
SRV-132 | cron 파일 소유자 및 권한설정 | 중요 시스템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SRV-133 | cron 파일 내 계정 미존재 | cron 파일 내 적절한 계정 설정이 되어 있는지 점검 |
SRV-142 | root 이외의 UID가 '0' 금지 | root 계정 외에 UID 값이 0인 계정(root와 권한이 동일)이 존재하는지 점검 |
SRV-143 | 동일한 UID 금지 | UID가 동일한 사용자 계정 존재 여부 점검 |
SRV-144 | /dev에 존재하지 않는 device 파일 점검 | 실제 존재하지 않는 디바이스 파일 존재 여부 점검 |
SRV-145 | 홈디렉토리로 지정한 디렉토리의 존재 관리 | 사용자 계정과 홈 디렉터리의 일치 여부를 점검 |
SRV-146 | ftp 계정 shell 제한 | FTP 서비스 설치 시 기본으로 생성되는 ftp 계정에 /bin/false 쉘을 부여하여 해당 계정으로의 시스템 접근을 차단 |
SRV-147 | SNMP 서비스 구동 점검 | 불필요한 SNMP 서비스 사용 중지 |
SRV-148 | Apache 웹서비스 정보 숨김 | 웹 페이지의 오류 발생 시 지나치게 자세한 메시지가 노출되지 않도록 설정 |
SRV-158 | 불필요한 TELNET 서비스 구동 여부 | Telnet 서비스 사용 여부 점검 |
SRV-159 | Session Timeout 설정 | 일정 시간 동안 어떠한 이벤트도 발생하지 않으면 연결을 강제 종료하도록 Session Timeout 설정 |
SRV-160 | 불필요한 계정 제거 | 불필요한 계정이 존재하는지 점검하여, 관리되지 않는 계정에 의한 침입을 방지해야 합니다. 시스템 계정 중 불필요한 계정(퇴직, 전직, 휴직 등)이 있는지 점검하여야 합니다. |
SRV-161 | Ftpusers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중요 파일의 소유자 및 권한 설정 |
SRV-162 | 이벤트 로그에 대한 접근 권한 설정 미비 | su 명령의 사용 시에는 로그를 남겨서, 사용자 추적이 가능하도록 설정 |
SRV-163 | 로그온 시 경고 메시지 제공 | 서버 및 서비스에 로그온 시 불필요한 정보 차단 설정 및 불법적인 사용에 대한 경고 메시지 출력 |
SRV-164 | 계정이 존재하지 않는 GID 금지 | 그룹 설정 파일에 불필요한 그룹이 존재하는지 점검 |
SRV-165 | 사용자 shell 점검 |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은 계정에 /bin/false 쉘을 부여해 로그인 제한 |
SRV-166 | 숨겨진 파일 및 디렉토리 검색 및 제거 | 숨김 파일 및 디렉터리 내 의심스러운 파일 존재 여부 점검 |
SRV-167 | ftp 서비스 확인 | FTP 서비스 활성화 여부 점검 |
SRV-168 | 정책에 따른 시스템 로깅 설정 | 내부 정책에 따른 시스템 로깅 설정 적용 여부 점검 |
Windows 점검 항목
Windows 보안 설정 점검 항목과 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Check ID | 점검항목 | 점검 항목 설명 |
---|---|---|
WKS-01 | Administrator 계정 이름 바꾸기 | 관리자 계정의 이름을 변경하여 공격자가 계정 이름을 쉽게 유추하지 못하도록 설정 |
WKS-02 | Guest 계정 사용 제한 | Guest 계정은 아무나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취약한 계정이므로 사용 제한 |
WKS-03 | 계정 잠금 임계값 설정 | 사용자 계정 잠금을 야기하는 로그인 시도 실패 횟수를 결정 |
WKS-04 | "해독 가능한 암호화를 사용하여 암호 저장" 사용 안 함 | 응용 프로그램 요구 사항이 암호 정보를 보호해야 할 필요성보다 크지 않은 한, 도메인의 모든 사용자에 대해 해당 정책을 사용 안 함 |
WKS-05 | "Everyone 사용 권한을 익명 사용자에게 적용" 사용 안 함 | 해당 정책을 사용 해제하여 익명 사용자가 Everyone 그룹으로 사용 권한을 준 리소스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 |
WKS-06 | 계정 잠금 기간 설정 | 로그인 실패 임계값 초과 시 계정 잠금을 유지하는 시간 설정 |
WKS-07 | 패스워드 복잡성 설정 | 암호 설정 시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모두 포함하여 강력한 암호가 설정될 수 있도록 복잡성 설정 |
WKS-08 | 최소 암호 길이 | 최소 암호 길이를 8자 이상으로 설정 |
WKS-09 | 최대 암호 사용 기간 | 최대 암호 사용 기간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암호를 자주 바꾸도록 유도 |
WKS-10 | 최소 암호 사용 기간 | 암호를 변경할 수 있기 전까지 경과해야 하는 최소 날짜 설정 |
WKS-11 | 마지막 사용자 이름 표시 안함 | 디바이스에 로그온한 마지막 사용자의 이름을 데스크톱에 표시하지 않도록 설정 |
WKS-12 | 최근 암호 기억 | 이전 암호를 다시 사용하기 전까지 사용자 계정과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는 고유한 새 암호의 수 결정 |
WKS-13 | 콘솔 로그온 시 로컬 계정에서 빈 암호 사용 제한 | 빈 암호 사용을 제한하여 빈 암호를 가진 계정의 콘솔 및 네트워크 서비스 접근을 차단 |
WKS-14 | 불필요한 서비스 제거 - Alerter | 불필요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거나 제거 |
WKS-15 | 불필요한 서비스 제거 - Clipbook | 불필요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거나 제거 |
WKS-16 | 불필요한 서비스 제거 - Messenger | 불필요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거나 제거 |
WKS-17 | IIS 서비스 구동 점검 | 불필요한 IIS 서비스 중지 |
WKS-18 | FTP 서비스 구동 점검 | 불필요한 FTP 서비스 중지 |
WKS-19 | DNS Zone Transfer 설정 | DNS Zone Transfer 차단 설정을 적용하여 승인된 DNS 서버 이외의 외부로 도메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 |
WKS-20 | 터미널 서비스 암호화 수준 설정 | 터미널 서비스 암호화 설정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보호하고, 불필요한 경우 터미널 서비스 사용 중지 |
WKS-21 | SNMP 서비스 구동 점검 | SNMP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 중지하여 시스템의 주요 정보 유출 및 불법 수정 방지 |
WKS-22 | Telnet 보안 설정 | Telnet 이용 시 네트워크상으로 암호를 전송하지 않는 NTLM 인증만 사용하도록 설정 |
WKS-23 | 정책에 따른 시스템 로깅 설정 - AuditLogonEvents | 법적 요구 사항과 조직의 정책에 따라 필요한 로그를 남기도록 적절한 감사 수준 설정 |
WKS-24 | 정책에 따른 시스템 로깅 설정 - AuditAccountLogon | 법적 요구 사항과 조직의 정책에 따라 필요한 로그를 남기도록 적절한 감사 수준 설정 |
WKS-25 | 정책에 따른 시스템 로깅 설정 - AuditPolicyChange | 법적 요구 사항과 조직의 정책에 따라 필요한 로그를 남기도록 적절한 감사 수준 설정 |
WKS-26 | 정책에 따른 시스템 로깅 설정 - AuditAccountManage | 법적 요구 사항과 조직의 정책에 따라 필요한 로그를 남기도록 적절한 감사 수준 설정 |
WKS-27 | 정책에 따른 시스템 로깅 설정 - AuditPrivilegeUse | 법적 요구 사항과 조직의 정책에 따라 필요한 로그를 남기도록 적절한 감사 수준 설정 |
WKS-28 | 정책에 따른 시스템 로깅 설정 - AuditDSAccess | 법적 요구 사항과 조직의 정책에 따라 필요한 로그를 남기도록 적절한 감사 수준 설정 |
WKS-29 | 원격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레지스트리 경로 |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격 레지스트리 서비스 사용 중지 |
WKS-30 | 이벤트 로그 관리 설정 | |
WKS-31 | 로그온하지 않고 시스템 종료 허용 | 로그온 창의 시스템 종료 버튼을 비활성화하여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시스템 종료를 하는 위협을 방지 |
WKS-32 | SAM 계정과 공유의 익명 열거 허용 안 함 | SAM(보안계정관리자) 계정과 공유의 익명 열거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익명 사용자에 의한 악의적인 계정 정보 탈취 방지 |
WKS-33 | Autologon 기능 제어 | Autologon 기능 비활성화 |
WKS-34 | 이동식 미디어 포맷 및 꺼내기 허용 | 이동식 미디어의 NTFS 포맷 및 꺼내기가 허용되는 사용자를 제한 |
WKS-35 | 사용자가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없게 함 | 사용자의 프린터 드라이버 설치를 차단하여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한 시스템 손상 방지 |
WKS-36 | 경고 메시지 설정 | 로그온 시 시스템의 불법적인 사용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설정 |
WKS-37 | LAN Manager 인증 수준 | Lan Manager 인증 수준 설정을 통해 네트워크 로그온에 사용할 Challenge/Response 인증 프로토콜을 결정하며, 안전한 인증을 위해 NTLMv2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 |
이 문서가 도움이 되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