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net Management

Prev Next

VP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Subnet Management에서는 VPC 내부에 Subnet을 생성, 삭제하거나 운영 중인 Subnet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ubnet은 LoadBalancer, 일반, BareMetal, NatGateway, SFC를 제공하고 있으며, 각 용도에 맞는 서브넷을 선택해 주십시오.

참고
  • SFC Subnet은 Transit VPC에서 Public을 선택한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SFC Subnet은 Routing Table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 SFC Subnet에서 네트워크 흐름을 제어하려면 Service Function Chain을 참조해 주십시오.

Subnet 목록 확인

생성하여 운영 중인 Subnet 목록에서 각 Subnet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

운영 중인 Subnet이 1개 이상인 경우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성하여 운영 중인 Subnet이 없는 경우 Subnet Management 화면에서 목록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VPC 환경에서 Services > Networking > VPC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2. Subnet Management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3. 생성한 Subnet 목록이 나타나면 요약 정보를 확인하거나 Subnet을 클릭하여 상세 정보를 확인해 주십시오.
    • Subnet 이름: Subnet의 이름
    • Subnet ID: Subnet의 ID 값
    • 상태: Subnet의 상태
      • 생성중: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 Subnet을 생성하고 있는 상태
      • 운영중: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 Subnet의 생성이 완료되어 Subnet을 이용 가능한 상태
      • 종료중: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 생성한 Subnet을 삭제하고 있는 상태
    • VPC 이름: Subnet이 속한 VPC의 이름
    • IP 주소 범위: Subnet의 IP 주소 범위
    • Zone: Subnet이 배치된 가용 Zone
    • Internet Gateway 전용 여부: Subnet의 인터넷 연결 여부, Public Subnet은 Y로 표시되고 Private Subnet은 N으로 표시
    • 용도: Subnet의 용도
    • Network ACL: Subnet에 적용된 Network ACL
    • 생성 일시: Subnet을 생성한 날짜
    • 로드 밸런서 전용 여부: Load Balancer에서만 사용 가능한 전용 Subnet 여부

Network ACL 변경

Subnet에 적용된 Network ACL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VPC 환경에서 Services > Networking > VPC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2. Subnet Management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3. Network ACL을 변경할 Subnet을 클릭한 후 상세 정보 영역에서 Network ACL 옆의 [변경]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4. Network ACL 수정 팝업 창이 나타나면 Network ACL을 변경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Subnet 생성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Subnet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VPC 환경에서 Services > Networking > VPC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2. Subnet Management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3. [Subnet 생성]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4. Subnet 생성 팝업 창이 나타나면 생성할 Subnet의 정보를 입력해 주십시오.
    • Subnet 이름: 생성할 Subnet의 이름을 3~30자 사이로 입력
    • VPC: Subnet을 배치할 VPC 선택
    • IP 주소 범위: 선택한 VPC 주소 범위 내에서 지정하여 입력(<예시> 10.0.0.0/24, 172.16.1.0/24)
      • Network IP, Broadcast IP, 내부 관리를 위한 최초 5개의 IP는 가용 수량에서 제외되어, /24인 경우 249개, /25인 경우 121개, /26인 경우 57개의 IP 사용 가능
    • 가용 Zone: Subnet이 배치될 물리적인 가용 Zone 선택
    • Network ACL: Subnet에 적용될 Network ACL로, Default 룰이 제공되며 사전에 네트워크 환경에 맞춰 Network ACL 구성 시 보안 강화 가능
    • Internet Gateway 전용 여부: Subnet의 인터넷 연결 여부 선택
      • Y (Public) 선택 시 Public Subnet이 생성되며, 이곳에 생성한 서버는 공인 IP를 부여받은 후 인터넷 통신이 가능
      • N (Private) 선택 시 Private Subnet이 생성되며, 이곳에 생성한 서버는 내부 통신만 가능. 인터넷에 접속하려면 NAT Gateway 별도 생성 필요(Outbound 통신만 가능)
    • 용도: Subnet의 용도 선택
      • Load Balancer, Bare Metal, NAT Gateway, SFC 전용 시 해당 용도 선택
    참고
    • SFC Subnet은 Transit VPC에서 Public을 선택한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5. [생성]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6. Subnet Management 화면의 Subnet 목록에서 생성된 Subnet의 상태를 확인해 주십시오.
    • 생성중: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 Subnet을 생성하고 있는 상태
    • 운영중: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 Subnet의 생성이 완료되어 Subnet을 이용 가능한 상태

Subnet 삭제

생성하여 운영 중인 Subnet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삭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
  • Subnet 안에 서버가 있으면 삭제되지 않습니다.
  • 한 번 삭제된 Subnet은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VPC 환경에서 Services > Networking > VPC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2. Subnet Management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3. 삭제할 Subnet을 클릭한 후 [Subnet 삭제]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4. Subnet 삭제 팝업 창이 나타나면 [예]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5. Subnet Management 화면의 Subnet 목록에서 Subnet 상태를 확인해 주십시오.
    • 종료중: Subnet을 삭제하고 있는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