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이용 시나리오
-
인쇄
-
PDF
Server 이용 시나리오
-
인쇄
-
PDF
Server 서비스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서버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용 신청됩니다. 서버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및 방화벽 설정도 콘솔에서 진행합니다.
서버에 접속하려면 Linux 서버는 터미널 프로그램을, Windows 서버는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이용해야 합니다.
내 서버 이미지를 사용해 동일한 정보를 가진 서버를 생성하거나, 추가 스토리지를 서버에 연결하거나, 다양한 네트워크 설정을 구성하는 등 서버와 관련된 여러 가지 기능을 콘솔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erver의 전체 이용 시나리오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서버 생성: 콘솔
- 서버 이미지와 서버 타입을 선택해 서버 생성
- 이 단계에 대한 사용 가이드 페이지
-
포트 포워딩 또는 공인 IP 설정: 콘솔
- 비공인 IP가 할당된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기 위해 포트 포워딩 설정 진행(Classic)
- 서버를 서비스 목적으로 이용하거나 VPC 환경에서 생성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공인 IP 설정 진행
- 이 단계에 대한 사용 가이드 페이지
-
ACG 설정: 콘솔
- 네트워크 접근 제어를 위해 ACG 설정 진행
- 이 단계에 대한 사용 가이드 페이지
-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콘솔
- 서버 접속에 필요한 관리자 이름 및 비밀번호 확인
- 이 단계에 대한 사용 가이드 페이지
-
서버 접속: PC의 터미널 프로그램 또는 원격 데스크톱 연결
- Linux 서버의 경우 PC에서 터미널 프로그램을 통해 서버에 접속
- Windows 서버의 경우 PC에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통해 서버에 접속
- 이 단계에 대한 사용 가이드 페이지
-
서버 사용 및 관리
- 사용 중인 서버의 현재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 내 서버 이미지를 생성하고, 저장한 서버 이미지를 사용해 동일한 정보를 가진 서버 생성
- 서버 생성 시 초기 환경 구성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자동으로 실행시킬 스크립트를 생성하고, 스크립트를 사용해 서버 생성
- 서버 초기 환경 구성 스크립트 생성 및 이 스크립트를 포함한 서버 이미지를 생성하고, 저장한 서버 이미지를 사용해 서버 생성
- 서버에 HDD 또는 SSD 스토리지를 추가
- 스토리지 스냅샷 생성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스냅샷을 사용해 스토리지 생성
- 서버 간 내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프라이빗 서브넷 생성
- 서버에 추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
- 서버 설정 변경
- 이 단계에 대한 사용 가이드 페이지
이 글이 도움이 되었나요?